Estimation of Rutting Property of Artificially-Aged Asphalt Mixtures Based on LMS(%) and $S_D$

LMS(%)와 $S_D$에 의한 노화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번형 추정

  • 정재헌 (강원대학교 지역기반공학과) ;
  • 박태원 (강원대학교 지역기반공학과) ;
  • 도영수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연구센터) ;
  • 김광우 (강원대학교 지역기반공학과)
  • Published : 2007.09.1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evaluating correlation of aging level and deformation resistance of asphalt mixtures conditioned by artificial aging treatment. The specimens were made of the short-term aged loose asphalt mixture which was kept in a convection oven at $154^{\circ}C$ for 2 hours, and then were artificially aged at $110^{\circ}C$ for 24, 48, 72 and 96 hours for long-term aging. Deformation strength ($S_D$) and large molecular size ratio (LMS(%)) were measured after short-term and each long-term aging treatment to evaluate aging extents of each mixture with aging time using GPC(Gel-permeation chromatograph) test. It is shown that the $S_D$ and LMS(%) were increased with aging time increment, and that LMS(%) quantity and $S_D$ have relatively good correlation each other. This study found that the aged asphalt mixture had better resistance against rutting and it was possible to estimate rutting characteristics of asphalt mixtures by using LMS(%) without a binder recovery.

본 연구는 $154^{\circ}C$로 2시간의 단기노화를 거친 혼합물로 제작한 공시체를 $110^{\circ}C$에서 24, 48, 72, 96시간 동안 장기노화를 시켜 아스팔트 혼합물의 노화와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혼합물의 노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성의 증가로 인한 소성변형 저항성이 증가할 것을 고려하여 변형강도를 이용해 단기노화와 장기노화를 거친 공시체에 대해 소성변형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노화 시간의 증가에 따른 바인더의 노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GPC (Gel-permeation chromatograph) 분석을 통하여 대형분자비율(LMS(%))을 측정하였다. 노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LMS(%)가 증가하고 혼합물의 변형강도 값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관성 분석으로부터 LMS(%)와 변형강도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통해 혼합물이 노화되면 소성변형 저항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MS(%)의 측정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의 바인더 추출 없이도 소성변형특성을 추정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