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ollutant Characteristics of Tunnel Cleaning Wastewater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s via Settling and Adsorption

터널 세척 폐수 특성 및 분리.흡착 방식에 따른 오염물질 저감 연구

  • 박상우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최영화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오재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7.09.15

Abstract

Washed wastewater generated from the intermittent cleaning process of the three tunnel sites located in the Seoul area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SS, $COD_{Cr}$, T-N, $NH_3-N$, $NO_3-N$, Zn, Cu, Cr(+6), Mn, Mg, Phenol, $CN^-$ and E-Coli based on the water quality analysi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ive wastewater depend on the sampling method, cleaning frequency, released amount of washing water, inner material of tunnel wall, traffic volume, and type of drainage systems. Gravitational separation experiment of SS with collected tunnel wastewater showed considerable removal of pollutants such as 80% of $COD_{Cr}$, 30% of T-N and 90% of T-P simultaneously. GAC isotherm test was conducted to remove dissolved portion of the pollutants, and resulted in high removal efficiencies above 80% of $COD_{Cr}$, T-N, Zn, Cu, Mn, Phenol, C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GAC dosage of $50g/1/{\ell}$.

터널 내 축적된 다양한 오염원들은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세척과정 중에 폐수로 배출되게 되며, 서울 시내 3개 터널 지점에서 수행된 수질분석결과 SS, $COD_{Cr}$, T-N, $NH_3-N$, $NO_3-N$, Zn, Cu, Cr(+6). Mn, Mg, Phenol. $CN^-$, E-Coli 등이 고농도 형태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오염수질의 배출농도 특성은 터널 세척 폐수의 채취 방법, 세척횟수, 세척수량, 터널내벽 특성, 통행량, 배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농도범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집된 터널 세척폐수를 단순 중력침전을 이용하여 저감실험을 수행한 결과, $COD_{Cr}$는 80%, T-N, T-P는 각각 30, 90% 제거됨을 확인하였고, 중력침전 분리를 통하여 제거되지 않은 잔여 오염물질에 대하여 GAC 소재를 통한 흡착실험(터널 세척폐수 $1{\ell}$에 대하여 GAC를 50g을 투입) 결과, $COD_{Cr}$, T-N, Zn, Cu, Mn, Phenol, CN 항목에서 80% 이상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