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and Sampling Design for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산업.직업별 고용구조 분석 및 표본설계

  • 류제복 (청주대학교 생명.유전.통계학부 통계학) ;
  • 손창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박상현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조사팀) ;
  • 남기성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조사팀) ;
  • 이기성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OES survey as the national official statistics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national labor market policy and research such as the basic statistics for human resource supply policy, the prediction of employment by occupations, the decision of occupation, the occupational training and the finding jobs et al., at the levels of industrial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s(3-digit).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analyze the OES data in 2005 and 2006 and propose the new sampling design using the long form data in Korea (10% sample data of census 2005).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criterion of sample allocation and derive the formular for estimator and error of it including the weighting procedure. From the proposed sampling design, we would expect that it contributes to the supply policy of human resource and the research for labor market.

산업 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 :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는 국가승인통계로 산업소분류(194개) 직업세분류(392개) 수준에서의 고용구조를 파악하여 국가적 인적자원 수급정책을 위한 기본통계와 직업별 고용전망, 진로 선택, 직업훈련, 취업알선 등 노동시장 정책과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와 2006년도에 실시된 산업 직업별 고용구조조사 자료를 특성별로 정밀 분석하고, 10%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고용현황을 살펴서 이들을 바탕으로 모집단을 충분히 대표할 수 있도록 새로운 표본설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표본설계방안에서는 표본배정 기준을 마련하고 아울러 가중치 부여 과정을 포함해서 추정식과 추정식의 오차계산 공식을 유도한다. 새로운 표본설계를 통해서 산업 직업별 고용구조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국가적 인력수급 정책을 원활히 세울 수 있게 되고, 또한 고용관련 연구에도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