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airdo Attitude and Hairdo Involvement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hairdo attitude and hairdo involvement, the differences in the hairdo involvement by hairdo attitude.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Seoul and Kyung-gi do during September to October 2006. 4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software such a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test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airdo attitude factors were found to be 'leader's fashion conformity', 'distinct individuality', 'constancy', and 'consciousness of others' The hairdo involvement factors were found to be 'interests in hairdo', 'fashionableness', 'symbolic representation', 'risk awareness', and 'coordination of hairdo'. 2. As for the hairdo attitude,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the highly-oriented group and the lowly-orient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hairdo involvement factors depending on two groups. Highly-oriented groups of 'leader's fashion conformity' considered more about interests in hairdo, fashionableness, symbolic representation, and coordination of hairdo, except for risk awareness, signalling that the more people respond to leader's fashion, the higher they are involved with hairdo. Highly-oriented group of 'consta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shionableness and risk awareness. Lower level of fashionableness but higher level of risk awareness than the lowly-oriented group. Highly-oriented group of 'consciousness of others' displayed high performance in all factors, implying that the more people respond to feedback and evaluation of others, the higher they are involved with hairdo.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권석만. (1995). 대학생의 대인관계 부적응에 대한 인지행동적 설명 모형. 서울대학생 연구, 30(1), 38-63
  3. 금혜령. (2000). 노년기 여성의 의복 관여와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경득. (2002). 서양 현대 연기자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명희. (2000). 헤어스타일 모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TV 드라마 탤런트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병미, 유미근. (2004). 대학생의 헤어 패션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1), 1-12
  7. 김선옥. (1997). 미용서비스 품질인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양휴. (1996). 패션 헤어스타일의 선호와 성격간의 상관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원수. (1995). 경영윤리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0. 김유덕. (2003).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 추구 이미지와 의복관심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찬주. (1992). 의복 구매에 관련된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류은정. (1991). 의복 관여도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경애. (1987). 패션 확산 전략에 개성개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박관순. (1991). 패션에 대한 自我槪念과 性格特性이 衣服行動에 미치는影響.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박숙현, 류은혜, 이순덕. (2006). 한국과 호주 여성의 헤어스타일 행동 및 선호도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129-139
  16. 박주비. (2004). 여대생의 신체적 특징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 행동 및 헤어스타일 행동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주비, 정옥임. (2005). 여대생의 신체적 특정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6), 97-112
  18. 백경진. (2003).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행동 및 영향 변인-의복 관여, 연령, 얼굴만족도 변인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서윤경. (2003). 여대생의 성격 유형에 따른 헤어스타일과 헤어 컬러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송기옥. (1999). 서비스 조직에 있어서의 내부 마케팅 전략 연구-미용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송용섭. (1994). 현대마아케팅론. 서울: 법문사
  22. 신동금. (2004). 인구통계적 특성과 유행태도에 따른 헤어미용실 소비행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신동금, 남윤자. (2004). 소득과 소비지출에 다른 미용실에서의 구매행동 차이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0(2), 117-122
  24. 신효정. (2002). 현대 여성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심용섭. (1998). 구매만족도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 쇼핑몰과 현실시장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안소현. (1996). 외국상표 의류에 대한 소비자 쇼핑성향 연구. 의복관여, 자민족중심주의 원산지 효과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안현경. (2005). 헤어스타일 演出에 關한 硏究. 首都圈 20代 女性의 얼굴形과 헤어 패션 感覺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애런슨, 엘리어트. (1972). 사회적 심리학: 사회적 동물. 윤진, 최상진 옮김 (1990). 서울: 탐구당
  29. 오의재. (1995). 구매 후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만족도, 상표태도, 재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유은희. (2004). 헤어 미용 상품별 서비스의 위험지각과 만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부련, 조은영. (1998). 남, 여대학생의 의복 태도 연구-의복 관여, 정보원천사용, 상표충성도를 중심으로-. 사화과학연구, 5(5), 169-186
  32.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 관여와 외적 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3. 이은실. (1994). 노년기 여성의 의복 관여와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이은영. (1991).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35. 이의수. (1998). 모발과학. 서울: 현문사
  36. 이인자. (1989). 의상 흥미의 국제간 비교연구 I: 일본과 대만 여대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연구보고; 12(9), 55-68
  37. 임경복. (2001). 지각된 위험과 의복 관여가 정보탐색 활동에 미치는 영향-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2), 206-216
  38. 임인숙, 권대순. (2001). 헤어 연출의 창의적 방법연구(헤어피스 제작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7(1), 41-63
  39. 임희정, 이희현. (2002). 대학생들의 개인적 特性과 性格에 따른 헤어스타일 形態에 관한 연구: 영동지역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4(1), 35-59
  40. 정미재. (1996). 의복 관여와 상표확장과의 상관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정영주. (1994). 의복 관여와 준거집단 영향력과의 상관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 정현숙. (2006). 미용서비스 소비자의 인적충성과 점포충성에 관한 이원적 충성행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3. 조은영. (1993). 의복관여에 따른 제품평가기준과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4. 최은영. (1990). 의복에 대한 소비자 관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하주연. (2002).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선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하주연, 고애란, 정미실. (2005). 여고생의 감각 추구 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 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복식, 29(5), 715-726
  47. Anspach, K. (1967). The why of fashion.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48. Deutsch, M. & Gerard, H. B. (1955). A study of nonn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ement.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1, 629-636 https://doi.org/10.1037/h0046408
  49. Holbrook, M. B. & Hirschman, E. C. (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32-140 https://doi.org/10.1086/208906
  50.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1.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 Y: Holt, Rinehart and Winston
  52. Schneider, D. J., Hastorf, A. H., & Ellsworth, P. C. (1979). Person perception. Reading, Mass: Addison-Wesley
  53. Snyder, C. R. & Fromkin, H. L. (1980). Uniqueness: The human pursuit of difference. New York: Plenum
  54.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mpany

Cited by

  1.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on beauty attitude vol.24, pp.6, 2016, https://doi.org/10.7741/rjcc.2016.24.6.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