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ongbaekdongsan(Mt.), Jeju-Do, Korea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종엽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최인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발행 : 2007.08.31

초록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물군집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4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28{\sim}52$년 된 식생으로 TWINSPAN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결과 먼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때죽나무군집 등 총 7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상대우점치와 흉직경급별분포 분석결과 동백동산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었다. 먼나무군집과 종가시나무-때쭉나무군집은 교목층이 훼손된 식생이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종인 6개 군집은 $0.8745{\sim}1.3018$이었으며, 먼나무군집이 0.7619로 가장 낮았다. 7개의 군집 모두에서 제주도 상록활엽수림의 전형적인 아교목 및 관목성상 수종인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먼나무, 마삭줄, 백량금 등이 출현하였다. 또한 조사구내 난대기후대의 극상수종으로 추정되는 육박나무, 생달나무 및 참식나무가 출현하였으며 생달나무의 상재도는 80%이상이었다.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혼생하는 식생으로 그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며, 천이방향은 상록활엽수림의 극상수종으로 보고되고 있는 육박나무, 참식나무 등의 세력 이 약하며 하층에 동백나무의 세력이 강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34 plots for inspection(plot unit: $100m^2$)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ongbaekdongsan(Mt.), Jeju-do,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WINSPAN and mean importance percentage analysis, the target forest was aged $28{\sim}52$, and classified into seven community types in total: Ilex rotunda community,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Castanopsis sieboldii-Quercus glauca community, Quercus glauc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Quercus glauca community, Quercus glauca-Camellia japonica community, and Quercus glauca-Styrax japonica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ortance percentage analysis and DBH class distribution of major woody species, the vegetational aspects showed that the dominant species were Castanopsis sieboldii and Quercus glauca in the canopy layer and Camellia japonica in the subordinate layer. Ilex rotunda and Quercus glauca-Styrax japonica community were damaged vegetation in the canopy layer. According to the index of Shannon's diversity in the six communities including the dominant species - Quercus glauca and Castanopsis sieboldii, their species diversity degree was $0.8745{\sim}1.3018$ and that of Ilex rotunda community was the lowest 0.7619. Camellia japonica, Eurya japonica, Ilex rotunda,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Ardisia crenata appeared in all the seven communities. In addition, Litsea coreana and Cinnamomum japonicum as well as Neolitsea serica presumed as climax species in the warm temperate climate also appeared and the constancy ratio of Cinnamomum japonicum was more than 80%. As a result, the target forest in Dongbaekdongsan(Mt.) was mainly compose of Castanopsis sieboldii and Quercus glauca in the canopy layer as a mixed vegetational pattern, and Cameliia japonica was dominant in the subordinate layer. Continuous monitoring was required, since Camellia japonica was strong in the subordinate layer in contrast to the weakness of Litsea coreana and Neolitsea serica reported as the species of climax stage in the forest with Evergreen Broad-leaved Vegetation at a viewpoint of successional dire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문홍 (1991) 제주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1. 구실잣밤나무와 후박나무의 자연림. 한국생태학회지 14(1): 39-48
  2. 김문홍(1998) 선흘 동백동산,백서향 및 변산일엽 군락지의 식물상 및 식생(제주발전연구원. '선흘 동백동산,백서향 및 변산일엽 군락지 보전대책 및 활용방안 연구보고서' 19-51)
  3. 김용식. 오구균(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II) -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28-139
  4. 김용식. 오구균(1997)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III) - 남.동해 몇몇 도서의 관속식물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1): 61-83
  5. 김종홍(1987) 한반도 상록활엽수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박사학위논문. 115쪽
  6. 김종홍(1994) 한반도의 상록활엽수 보존실태와 대책. 자연보존. 87: 1-6
  7. 김종홍,박문수(1994) 금오열도의 식생(한국자연보존협회).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금오지구 종합학술조사보고서 111-137쪽
  8. 김철수,오장근(1991a)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IV). 한국생태학회지 14(1): 49-61
  9. 김철수,오장근(1991b) 해남반도의 상록수림의 종조성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4(3): 243-255
  10. 김철수. 오장근(1992)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V). 목포대학교 연안환경연구 9: 1-29
  11. 박인협(1985) 백운산지역 천연림 생태계의 조림 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쪽
  12. 양영환, 김봉찬, 김문흥(1992) 제주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2. 활엽수의 2차림,제주대논문집 37-48
  13. 오구균(1994) 두륜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응용 생태연구 8(1): 43-57
  14. 오구균. 김용식(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 -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87-102
  15. 오구균,김용식(1997) 난대 가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V) -사례지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3): 334-351
  16. 오구균, 조우(1994) 홍도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 27-42
  17. 오구균,조우(1996) 진도 첨찰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66-75
  18. 오구균,지용기(1995) 불갑산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9(1): 30-41
  19. 오구균(1994) 두륜산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 43-57
  20. 오구균,최송현(1993)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 459-476
  21. 이일구(1981) 동남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그의 보존상태에 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3: 89-109
  22. 이일구,이호준,차영일,김인택 (1982) 수개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그의 보존상태에 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4: 115-136
  23. 이호준,양호식(1988) 금오도 상록활엽수림의 생태학적 연구. 자연보존. 61: 29-45
  24. 임양재,백광수,이남주(1991) 한라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76쪽
  25. 제주문화예술재단(2003) 국가.도지정문화재일람. 제주문화 예술재단. 14쪽
  26. 제주발전연구원(1998) 선흘 동백동산,백서향 및 변산일엽 군락지 보전대책 및 활용방안 연구보고서,제주발전연구원. 105쪽
  27. 한봉호,조현서,송광섭(1999)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식물군집구조 특성 및 식생관리 계획.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4): 345-360
  28. Cox, G. W. (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 232pp
  29.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0. Harcomb, P. A. and R. 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31. Hill, M. O. (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99pp
  32. Pielou, E. C. (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 Y., 386pp
  33.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ey Mountains. Ecol. Monographs 26: 1-80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