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with Step-by-step Working Process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집단급식소의 작업 단계별 위생관리에 대한 실태 조사

  • Shin, Dong-Hwa (Faculty of Biotechnology (Food Science & Technology Maj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oh, Gowan-Soon (Faculty of Biotechnology (Food Science & Technology Maj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ong-Eun (Faculty of Biotechnology (Food Science & Technology Maj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uk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a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신동화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 소관순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형은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용석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Sanitary management with step-by-step working process and dietician's perception against them at 98 food service institutions located in Jeollabuk-Do were surveyed. Food service institutions included 13 hospitals, 38 schools,40 enterprises, and 7 others. Practice ratio of sanitary management items at purchasing and receiving step of food and food materials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were 59.2-98.0%, and they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eps. In pre-treatment step, practice ratio of 'Undoing treatment of foods on the ground' in hospital was higher (53.8%) than those of enterprise (32.5%) and school (34.2%), and needed the improvement of pre-treatment procedure in enterprise and school. Practice ratio of all sanitary management items in cooking step were below 30%, and needed the improvement of cooking procedure. In storage step, the improvement of cooking procedure in school and enterprise were needed. Practice ratio of all sanitary management items in distribution step were low, and needed the improvement of this working procedure. However, in spite of low practice ratio on these items, dietician's perception against sanitary management items in all steps was low. Therefore, we estimated that the improvement of working processes and the conversion of dietician' perception on sanitary managements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were needed.

전라북도내 병원, 학교, 사업체 등의 집단급식소 98개소를 대상으로 작업 단계별 식품의 일반위생 관리항목의 실행 실태와 영양사의 중요성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식품의 구매 및 검수 단계의 위생관리 항목에 대해서는 59.2-98.0%의 실행율을 나타내어 다른 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실행이 되고 있었다. 전처리 단계에서 '바닥에서 식품 취급 안하기'라는 항목은 병원의 경우 실행율이 53.8%로 나타나 사업체(32.5%)와 학교(34.2%)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사업체와 학교 급식소에서의 전처리 작업 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조리 단계에서는 위생관리 항목 실행율이 모두 30% 이하로 나타나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였으며, 저장 단계에서는 학교와 사업체의 작업 과정 개선이 필요하였다. 배식 단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위생관리 항목에 대한 실행율이 낮아 개선이 필요하였다. 위생관리 항목에 대한 영양사의 인식도 조사 결과 각 단계별로 전반적인 위생관리 실행에 대한 교육 및 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유화춘: 단체급식에서의 HACCP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999)
  2. 김정원: 최근에 문제시되는 식중독과 세균성 이질의 특징, 발생현황 및 그 대책. 영양사교육자료집, 대한영양사회, 9-14 (2000)
  3. www.kfda.go.kr: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2006)
  4. www.kfda.go.kr (2007. 06. 30)
  5. 류경, 김정미, 곽동경: 대학급식시설의 위생실태 조사 및 품질관리를 위한 연구 -오뎅국을 중심으로-. 한국영양학회지, 18, 283-294 (1985)
  6. 전희정, 이윤경, 백재은, 주나미: 서울지역 산업체 급식소의 운영관리 실태 조사 및 평가- II. 생산직 급식소와 사무관리직 급식소간의 잔식량, 위생 및 시설 기구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조리과학학회지, 10, 277-283 (1994)
  7. 김소희, 이용우: 부산지역 대학 및 사업체 급식소의 위생관리 수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1-10 (2001)
  8. 김경원, 김동연, 곽동경, 서희재: 국내의료기관의 급식위생 현황분석. 한국식문화학회지, 17, 105-116 (2001)
  9. 유화춘: 최근 전문위탁급식업체의 일반현황 및 위생관리 현황.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5, 253-262 (2000)
  10. 이헌옥, 심재영, 김영경, 조민호, 최호순, 엄애선: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에 대한 서울지역 사업체 급식 관리자의 위생관리평가. 한국조리과학회지, 17, 542-548 (2001)
  11. 류은순: 부산.경남지역 사업체 급식종사자들의 위생적인 작업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 942-947 (1999)
  12. 류은순, 장혜자: 단체급식소 급식종사자의 위생습관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1, 274-281 (1995)
  13. 류은순: 부산.경남지역 사업체 급식관리자의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에 대한 인지도 조사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5, 579-585 (1999)
  14. 곽동경, 장혜자, 주세영: 병원급식시설의 미생물학적 품질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8, 137-145 (1992)
  15. 곽동경, 류경, 최성경: 병원급식의 미생물학적 품질보증을 위한 HACCP 전산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식문화학회지, 11, 107-121 (1996)
  16. 곽동경, 장혜자, 류경: 병원급식시설에서의 완자 전 생산과정의 미생물학적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위생학회지, 5, 99-107 (1990)
  17. 이혜상, 류승연: 대학생 대상 급식시설의 김밥 생산과정에 따른 계절별 미생물적 품질평가. 한국조리과학회지, 14, 367-374 (1998)
  18. 김혜영, 김희정: 위탁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고등학교 급식음식의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5, 304-314 (2000)
  19. 허영수, 이복희: 대학급식시설의 위생관리개선을 위한 HACCP 적용에 관한 연구-생.숙채류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4, 293-304 (1999)
  20. 박희경, 김경립, 신혜원, 계승희, 유화춘: 급식장의 조리기구.용기 및 작업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5, 315-323 (2000)
  21. 곽동경, 홍완수, 문혜경, 류경, 장혜자: 서울지역 학교급식 위생관리 실태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168-177 (2001)
  22. Korsak, N. Daube, G. Ghafir, Y, Chahed, A, Jolly, S. and Vindevogel, H.: An efficient sampling technique used to detect four foodborne pathogens on pork and beef carcasses in nine Belgian abattoirs. J. Food Prot., 61, 535-541 (1998) https://doi.org/10.4315/0362-028X-61.5.535
  23. Bryan, F.L.: Teaching HACCP techniques to food processors and regulatory officials. Dairy Food and Environ. Sanit., 11, 562-568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