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on Increase in Preschool Children's Creativity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 손정화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 김영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wordless picture books on increase in children's creativity. A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20 five-year old children(9 boys and 11 girls), who go to D Kindergarten in Ulsan-si, were selected as a experimental group and 20 five-year old children(8 boys and 12 girls) as comparative group, who attend B Kindergarten in Ulsan-si. For this study, all children of the groups were taken pre-test. After this experiment, difference in creativity of two groups was examined through post-test. The total of 42 sessions were conducted for 14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April to the second week of July, 2005. The test tool for this study was Creativity Scale developed by Kim Sang-yun (2003). To verify study questions, the mean of the two groups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independent-sample t-test was carried out using SPSS WIN 1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First,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wordless picture book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one(p<.001), which suggested that the activities affected increase in children's creativity in general. Second, integrated activities centering around wordless picture book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luency(p<.05), flexibility(p<.01) and originality(p<.001), sub-factors of children's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one.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se activities were effective. Third,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wordless picture book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laboration, a sub-factor of children's creativity, between the two group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wordless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increase in children's creativity.

Keywords

References

  1. 고은님 (1998).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이야기 구성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경리 (1996). 어머니에 의한 문제해결 동화가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 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4. 김상윤(2003). 아동심리 검사법. 부산: 고신대학교 출판부
  5. 김옥향(1983). 유치원 아동의 창의적 성격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인수(1989). 상념자극질문 활용수업의 창의력 증진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지연(2003). 글 없는그림책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 한국교총 현장교육연구 논문
  8. 김춘화(2000). '동화 듣고 전달하기' 가 유아의 어휘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지, 9(2) 43-59
  9. 김현주 (1983). 사회극적 놀이훈련올 통한 취학 전 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 호(2002).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상희 (1990). 이야기 내용에 대한 質問方式이 유아의 創意性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수정 (1998). 동화재구성 활동이 유아의 동화재구성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혜숙 (2007). 교사의 동화 제시방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28
  14. 심성경.백영애.김나림.변길희.박지애.박주희(2005). 글 없는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지, 25(3), 203-218
  15. 윤혜진 (1994). 교사의 질문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윤희준.박종기 (1971). 창의력 발달을 위한 수업형태에 관한 실험연구. 청주교육대학 논문집. 7, 5-28
  17. 이경우 (1998). 좋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력 개발. 서울: 한국교육정보
  18. 이경우.장영희.이차숙.노영희.현은자 (1997).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서울. 양서원
  19. 이미애(2002). 상상력이 포함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상금.장영희 (2001). 유아문학론. 서울: 교문사
  21. 이연규 (1999). 글 없는 그림책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시각적 문해, 추론, 구두언어 및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휘숙(1981). 유치원 아동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전동석 (2000). 창의성 계발 기법을 활용한 전래동화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4. 정성순 (2000).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차미정 (1990). 창의성 훈련프로그램의 구성방법, 교사훈련 여부가 유아의 창의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허미예 (1999). 글 없는 그림책 활용이 유아의 언어구성능력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D' Angelo K. (1981). Wordless picture books and the young language-disabled child.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14(1), 34-37 https://doi.org/10.1177/004005998101400106
  28. Franklin, B. V., & Richards, P. N.(1997). Effects of children's divergent produc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7, 121-127
  29. Goetz, E. M.(1981). The effects of minimal praise on the Creative bluckbuilding of three year aIds, Child Study Journal, 11(2), 449-454
  30. Haddon, F. A., & Lytton, H.(1968). Teaching Approach and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8, 171-180 https://doi.org/10.1111/j.2044-8279.1968.tb02002.x
  31. Hyman, R. B.(1978). Creativity in open and traditional classroom. Elementary School Journal, 78, 266-274 https://doi.org/10.1086/461111
  32. Mcgee, L. M. & Richgels, D. J. (1990). Literacy's beginning, Needham Heigh, M A : Allyn and Bacon, Inc
  33. Meeker, M (1978). Measuring creativity from the child's point of view, Journal of creativity Library bulletin, 52, 161-164
  34. Morrow, L. M. (1988).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one-to-on story readings in school settings. Reading Research Quarterly, 23(1), 89-107 https://doi.org/10.2307/747906
  35. Pagano, A. L. (1979). Learning and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2), 127-138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9.tb00198.x
  36. Rains, S, & Isbell, R. (1994). Stories children's literature in early education. Allbany, N.Y: Delmar Publisher
  37. Sternberg, R. J. (2000). Identifying and developing creative giftedness. Roeper Review, 23, 60-64 https://doi.org/10.1080/02783190009554067
  38.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Service
  39. Williams, F. E. (1970). Classroom ideas for encouraging thinking and feeling. Buffalo, N.Y: D.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