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model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Secondary Kitchen in Apartment House

아파트 보조부엌의 유형별 개조특성에 관한 연구

  • 이주희 (울산대 대학원) ;
  • 오찬옥 (인제대 디자인학부/유니버설디자인연구소) ;
  • 양세화 (울산대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07.04.25

Abstract

The study analyzes the re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four different types of secondary kitchens in apartment house based on their floor plans. The secondary kitchens are categorized into side placement, back placement, back placement with extensions on both sides, and back placement with an extension on a single side. The twelve apartment complexes in Ulsan were selected so that they may all consist each of the four types, and answered the survey. The classified traits of secondary kitchen were exa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or plan and remodeling. Side placement and back placement with extensions on both sides mostly used glass hinged doors. Back placement and back placement with a single side extension used glass sliding door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floor materials consisted of both wood and tiles, except for side placements, where only tiles were used. The sizes of the back placements with both and single side extensions were the largest. The side and back placements were rarely renovated, however, back placements with both and single side extensions went through massive remodeling.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중(2003), 아파트 전용면적 확대공사 행위의 형태와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7, 55-62
  2. 김진영(2004), 아파트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사작업 공간 사용행태와 의식.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진영.강순주(2005), 아파트 거주자의 가사작업 공간 사용행태와 의식. 대한가정학회지, 43(4), 17-30
  4. 박영순.이현정.김미경.조은숙(2003), 아파트 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소비자 트랜드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41, 129-136
  5. 백혜선.박광재(2000), 한국 공동주택에서 다용도실의 성립과 변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3), 11-20
  6. 성기용(1998), 우리나라 소규모아파트의 서비스 공간에 관한 연구-욕실과 다용도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8), 23-30
  7. 소윤경(2000),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소윤경.하미경(2002),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평면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3(3), 45-33
  9. 신소영(2002), 아파트 수납공간에 대한 소비자 평가-30평형대의 붙박이 수납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심영섭.김두식(2003), 초고층아파트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 및 수도권의 20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41, 112-120
  11. 오혜경.김도연(2001), 고급형 아파트의 평면 구성 특성 및 실내디자인 경향.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 111-119
  12. 이연숙.이지영.박남희.방희조(2004), 아파트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6), 91-98
  13. 이주희(2005), 아파트 보조부엌의 유형별 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세미.이지순.윤정숙(2001), 아파트 규모별 발코니공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2(3), 29-39
  15. 한지영(2002), 가사행태를 통해 본 아파트 가사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황인환.박인석(1999), 우리나라 아파트 발코니계획의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발코니계획관련 법제도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9(2), 463-468
  17. www.ulsan.go.kr(울산광역시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