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Risk Management in the Post-catchup Innovation System

탈(脫)추격형 혁신체제에서의 기술 위험 관리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In the post-catchup era, the probability of technology risk are growing according to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with high uncertainty are increasing. Risk acceptance and management are appearing as a more important policy issue. This paper examines the technology risk as a political and social sight and the character of technological risk in the post-catchup era. In the post-catchup, new technology and policy are more undergone trial and err. In particular, we need new approach and policy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risky environment and overcome catchup legacy. Accordingly, Korea risk management is needed reshaping of risk management system, increment of risk communication, risk management according to technology type, precautionary approach, bounded trial and err strategy, knowledge accumulation and learning reinforcement.

탈(脫)추격 단계에서는 높은 불확실성을 가진 기술혁신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 위험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책적 차원에서 위험을 수용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위험을 정치사회적 시각에서 재정리하고 새로운 기술과 정책이 겪는 시행착오와 실패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탈(脫)추격 단계의 기술위험의 특성을 파악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추격단계에서 형성되어온 과거의 유산이 여전히 지배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위험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위험관리체계의 재정립과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강화, 기술 유형별 위험 관리, 예방적 접근과 한정된 범위의 시행착오 전략의 활용, 지식축적과 학습의 강화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