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Visitor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the Nature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한라산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로의 이용행태와 이용객만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study, executed with Hallasan National Park, which deserves to be a typical ecotourism destination,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park management for early establishment of ecotourism in a national park by assessing its visitors'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a nature trail established as a series of an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Eorimok Square in the weekday and on the weekend for two months of August and September in 2006, and finally 144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revealed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s to Hallasan National Park tended to coincide with those of the visitors to other national parks In Korea. On the whole, it showed their low recognition level of nature trails built up in national parks and less experience in using them. However, the visitors' satisfaction level and intention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to others were comparatively higher after actually using the nature trail at the site of Hallasan National Park, which hints at the possibility of national parks' much weightier role as the ground for ecology education and the functional expansion of th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related facilities and programs. As for the attributes having effects on users' satisfaction with a nature trail, substantial aspects such as accessibility, safety, uniqueness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nd educational quality as well as physical facility management were revealed to have equal effects on users' satisfaction level, so there still remain a lot of pending issues over the reality of national parks in the initial stage of ecotourism staying at the level of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facilities for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This research had surveyed visitors to Hallasan National Park and limited to the nature trail only. For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ecological management of a national park,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ttributes affecting satisfaction of ecotourists, including nature trails and other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s, and more sophisticated measuring tools are needed.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태관광 목적지라고 할 수 있는 한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환경해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조성된 자연학습탐방로 탐방객의 이용 후 만족을 평가하여 국립공원에서의 생태관광의 조기 정착을 위한 공원관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어리목 광장에서 탐방을 마치고 귀가하는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2006년 8월과 9월, 두 달간 주중과 주말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44매의 유효표본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기존 우리나라 국립공원 탐방객의 특성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국립공원에 조성되어 있는 자연학습탐방로에 대한 인지수준은 낮고 이용경험도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이용 후 만족의 정도와 재방문의사, 권유의사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생태교육의 장으로서 추후 국립공원의 역할과 자연학습탐방로 등 환경해설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의 기능 확대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학습탐방로의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으로는 물리적 시설관리는 물론 접근성과 안전성, 환경해설의 독특성과 흥미, 교육성 등 내용적 측면도 고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해설시설의 도입과 조성 등 아직 생태관광의 초기단계인 국립공원의 현실에 많은 과제를 남기고 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이 한라산국립공원에 한정되고 자연학습탐방로에 대한 이용실태 조사에 머문 한계점을 지닌다. 보다 체계적이고 실천적인 국립공원의 생태적 관리를 위해서는 생태관광객의 만족과 자연학습탐방로를 포함, 환경해설의 운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제 속성의 파악과 정교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요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 프로그램 및 자연해설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자연학습탐방로 조성 및 운영을중심으로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0)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관리 방안연구
  3. 김상오(2006) 내장산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로의 자기안내식 해설판 디자인 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159-169쪽
  4. 김진선(2002) 환경해설이 관광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1쪽
  5. 데이비드 앤더슨(1999) 세계를 여는 창: 생태관광시설 설계 (김성일 역, '생태관광', 183-207쪽), 일신사,서울
  6. 문화재보호법(2003) 문화관광부
  7. 오강임(2004), 국립공원 탐방안내소 기능평가를 통한 이용 활성화방안연구: McManus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중 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89쪽
  8. 오문경(1996) 한라산국립공원의 훼손방지 방안-등산로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67쪽
  9. 우보명(1997) 국립공원의 생태관광적 가치와 효용. 18회 자연공원세미나 발표논문집,115-167쪽
  10. 자연공원법(2007) 환경부
  11. 조우(2000) 한국의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로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지 28: 5, 1-14쪽
  12. 조윤주(2001) 내장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의 개선방안: 탐방객의 이용행태 분석 및 중요도 성취도 분석기법의 적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3쪽
  13.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2006) 2006년도 공원사업계획
  14. 油井正昭(1987) 國立公園と國定公圏内の自然研究路に 闘する研究.千葉大園學報. 39: 37-52
  15. Buckley R. (1994) A Framework for Eco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21(3): 661-669 https://doi.org/10.1016/0160-7383(94)90126-0
  16. Burton, F. (1998) Can Ecotourism Objectives be Achieved? Annals of Tourism Research 25(3): 755-758 https://doi.org/10.1016/S0160-7383(98)80013-3
  17. Diamantis, D. (1998) Consumer Behavior and Ecotourism Products, Annals of Tourism Reserarch 25(2): 515-517 https://doi.org/10.1016/S0160-7383(97)00076-5
  18. Gilbert, J. (1997) Ecotourism Means Business. GP Publicatios. Wellington, New Zealand, 김진선(2002)에서 재인용
  19. Griffiths, A (1993) Ecotourism: The Nature of Travel. An issues paper released by Minister for Tourism, 김지선(2002)에서 재인용
  20. Lew, A.A. (1998) Ecotourism Trend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5(3): 742-746 https://doi.org/10.1016/S0160-7383(98)00023-1
  21. Meric, H., J. and J. Hunt(1998) Ecotourists' Motivation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of North Carolina Travele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6(Spring): 57-61 https://doi.org/10.1177/004728759803600407
  22. Miles, R. S. (1982) The Design of Educational Exhibitions. Unwin Hyman, London, 102pp
  23. Regnier, K., M. Gross and R. Zimmerman(1994) The Interpreter's Guidebook. UW-SP Foundation Press, Inc. 101pp
  24. Weiler, B. and H, Richins(1995) Extreme, Extravagant and Elite: A Profile of Ecotourists on Earthwatch Expeditions. Tourism Recreation Research 20(1): 29-36 https://doi.org/10.1080/02508281.1995.11014730
  25. Wight, P. (1995) Sustainable Ecotourism: Balancing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Goals within an Ethical Framework. Tourism Recreation Research 20(1): 5-13
  26. WTO(1996) Agenda 21 for the Travel & Tourism Industry: Towards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velopment, Madrid: W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