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Results after ACL Reconstruction using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and Hamstring Tendon Autograft

동종 전경골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 Yoon, Kyoung-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Bae, Dae-Ky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So, Dong-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Jeong-H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Jeong-Weon (Sport Medicine Center, East-West Neo Mediacl Center) ;
  • Park, Soo-Yeon (Sport Medicine Center, East-West Neo Mediacl Center)
  • 윤경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배대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소동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정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정원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의학센터) ;
  • 박수연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의학센터)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with a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and a hamstring tendon auto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cases of athroscopic ACL reconstructions using allogenous tibialis anterior(TA) tendon and autogenous hamstring tendon done from March, 2002 to August, 2005 and followed-up more than 1 year. The 250 cas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allogenous TA tendon was used in 150 cases and autogenous hamstring tendon in 100 ca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5 months and 14 months, respectively. The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and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knee score. Graft tension, synovial coverage were observed in cases of second look arthroscopy. Results: At final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linical examination. On second look arthroscopy, synovial coverage was better i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oup than allogenous TA tendon group(p=0.005).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graft tension(p>0.05).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linical results. But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oup had better synovial coverage than allogenous TA tendon group in second look arthroscopy.

목적: 동종 전경골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임상적 평가와 추시 관절경을 통한 이식물의 재형성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동종 전경골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5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종 전경골건 군 150예, 자가 슬괵건 군 100예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각각 15개월, 14개월이었다. 수술 전, 후의 Lachman, Pivot shift, KT-1000 관절계 검사, 2000 IKDC 슬관절 검사를 비교하였고, 29예의 추시 관절경 상 이식건의 강도, 활액막 형성 정도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Lachman, Pivot shift, KT-1000 관절계 검사, 2000 IKDC 슬관절 검사 등에서 양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추시 관절경상 75%이상의 활액막 형성 정도는 동종 전경골건 군에서 2예, 자가 슬괵건 군은 8예로 자가 슬괵건 군에서 우수하였으나(p=0.005) 강도는 양 군의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동종 전경골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양 군의 임상적 차이는 없었고 추시 관절경상자가 슬괵건 군에서 우수한 활액막 형성 소견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