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IGODONTIA : CASE REPORT

부분 무치증 환아의 증례보고

  • Son, Jeong-M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손정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Oligodontia is defined as the congenital absence of six or more teeth in dentition, excluding the third molars. The prevalence of congenital missing teeth is about 1.6 to 9.6% of population and the prevalence of oligidontia is about 0.08 to 1.1%.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is the most frequently absent after the third molar, followed by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upper second premolar. Females seem to be affected slightly more than males. Oligodontia may occur either in isolation, or as a part of a syndrome such as ectodermal dysplasia. Different causes are possible for oligodontia: physical obstruction or distruction of the dental lamina, space limitation, functional abnormalities of the dental epithelium, failure of induction of the underlying mesenchyme, chemotherapy, radiotherapy or genetic factor. Because oligodontia would result in esthetic and functional problems, such as facial asymmetry or occlusal disharmony, early diagnosis from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was necessary. And appropriate treatment plan should be followed. This case report was about oral conditions and treatment of the oligodontia patients who have no specific systemic disease.

부분 무치증은 제 3대구치를 제외한 6개 이상의 선천적 치아 결손으로 정의된다. 제3대구치를 제외한 선천적 치아 결손의 유병율은 $1.6{\sim}9.6%$이며 부분 무치증의 유병율은 $0.08{\sim}1.1%$이다. 가장 많이 이환되는 치아는 하악 제 2소구치이며 그 다음은 상악 측절치, 상악 제2소구치 순으로 호발하며 영구치에 비해 유치에서는 드물고 여성에게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부분 무치증은 외배엽 이형성증과 같은 특정 증후군과 연관되거나 치판의 생리적인 장애나 파열, 공간적 제한, 치성상피의 기능적인 비정상, 기저 간엽세포의 유도 실패나 유전적 영향 등의 원인에서 유래된다고 알려져 있다. 부분 무치증은 안모의 심미적 문제와 함께 치아의 교합 이상 등 기능적인 장애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임상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계획이 요구된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특별한 전신질환이 없는 부분 무치증 환아의 구강내 소견 및치료경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