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Technology Valuation Solutions;focused on high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y

현행 기술가치 평가모형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신기술 창업기업의 경우를 중심으로

  • Yang, Tai-Shik (Graduate School of Venture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Min, Kyung-Se (Department of Economics, Business College in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양태식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
  • 민경세 (한밭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학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o promote the commercialization of high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y, it is essential to activate technology trading for the Innovative Small & Medium companies which eager to acquire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y trading and facilitate financial system which provide Small & Medium companies wit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ney. This study focus on enhancing credibility of technology valuation solution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technology valuation solutions. The existing technology valuation solutions in practice have deficiency in reasonable valuation because of subjective technology factor's calculation. And the commercialization risk of high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cannot be fully reflected in the existing valuation solutions. The high risk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cts as a hurdle in the facilitation of providing money for the start-up companies. The improved new model will have more acceptable objectivity and reasonably reflect the commercialization risk of start-up companies. The new model has two distinctive features compared to existing solutions. The new model newly adopts commercialization success factor which reflects the risk of high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y. And the new model excludes technology factor which is controversial among interested parties. The exclusion of technology factor will improve the objectivity of technology valuation and the adoption of commercialization success factor will solicit investor and capitalist who concern the high risk of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In conclusion, the improved new model is expected to activate technology trading and facilitate the money market through which high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raise commercialization money.

본 논문은 신기술 창업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핵심 과제인 기술거래 활성화 및 기술평가금융 확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가치 평가 실무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이다.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거래의 활성화 및 담보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기술가치를 평가하여 사업화 자금을 공급하는 기술가치 평가금융의 확충 요구에 따라 기술가치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기술가치 평가방식의 신뢰성 부족으로 기술거래의 활성화 및 기술가치 평가금융 확충 노력이 담보 상태에 있다. 본 논문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현행 기술가치 평가모형을 개선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여 기술거래의 활성화 및 기술가치 평가금융의 확충을 도모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 기술가치 평가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 시장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기술가치 평가모형을 강구하였으며, 둘째, 기존 기술가치 평가사례에 새로운 모형을 적용하여 보았다. 새로운 모형은 기존 기술가치 평가모형의 기술기여도 요소 적용을 배제하고 시장지표인 기술사업화 성공률이라는 새로운 요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1)기술기여도 적용 배제 기술사업화 성공률 사용은 기술공급자 중심에서 기술수요자 중심으로 시각 전환 의미, 2)고위험인 신기술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 위험을 기술가치 평가에 반영함으로써, 기술가치 평가금융 여신의사 결정프로세스 상 기술사업화 위험 관리기능 수행으로 여신의사 결정 투명성 제고 가능, 3)기술가치 평가금액이 기술사업화 위험이 반영된 창출가능 사업가치로 개념이 명확화 됨에 따라 기대 투자 수익률 사용 적정 기술이전가격 산정으로 시장 상황에 따른 기술거래가격 협상의 융통성 제공, 4)표준 모형 개발 진척에 따라 가격 중심의 기술거래시장 형성 토대 마련(객관성 확보) 등 기존 문제점을 개선하여 신기술 창업 중소기업의 기술사업과 촉진을 위한 기술거래의 활성화와 기술가치 평가금융 확충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