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e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f Venture Firms on Performance

벤처기업의 인적자원관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Weon, Jong-Ha (Inje University of School of Economics, International Trade & Tourism)
  • 원종하 (인제대학교 국제경상학부)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practices affect the performance of venture firms 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everal HRM practices were found to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gnificantly. Specifically, ${(1)}$ recruitment and selection practic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which seemed to mean that effective staffing including development of good recruitment pools and rigorous selection process lower turnover, and ${(2)}$ training and development, compensation,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performance of the firms, which implied that as the venture firms provide more opportunities of training and development to employees, provide compensation on the basis of performance, and develop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the subjective performance of the venture firms Increases. Secondly, negativ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to exist between competitive strategies and HRM practic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pecifically, ${(1)}$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compens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urnover, ${(2)}$ HRM planning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interacted with differentiation strategy to significantly affect subj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3)}$ HRM planning, selec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compensation and communication practices interacted with technology innovation strategy to affect subj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o fa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which deal with HRM practices of venture firms in Korea. Thu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stimulate more research efforts on theory development and empirical studies on HRM practices of venture firms. Also, it is hoped that government conduct more policy studies and provide more resources in HRM area of the venture firms. Specifically, it is suggested that government take proactive steps to improve industrial skilled staff and technical researcher systems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s of workforce shortages in venture firms. And it IS also suggested that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be introduc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firms,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벤처기업의 경우 초기창업단계에서는 창업자의 열의와 능력, 기업가 정신으로 빠르게 성장이 가능하지만 이 단계를 거쳐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기술적, 재정적 기반을 갖추었음에도 많은 벤처기업들이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부족으로 실패하는 경우를 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벤처기업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기업의 형태로서 역사가 일천하기에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투자 및 관리 노력이 빈약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벤처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연구를 이론적 고찰과 인터뷰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모집과 선발이 이직률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기업이 엄격한 선발을 하고 좋은 모집원천을 개발 관리하는 것과 같은 것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면 이직률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훈련 및 개발 보상 노사관계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기업이 종업원에게 훈련 및 개발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투자하며, 성과 등에 기초하여 보상 하면 주관적 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우선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모집과 선발이라는 관행을 통해서, 주관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훈련개발 보상, 노사관계라는 관행을 통해서 그리고 개별관행이 상황에 관계없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편주의적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향후 벤처기업이 육성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정책에 있어서도 벤처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정책적 연구와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과 지자체 지역 대학이 함께 인재를 육성하는 지역인재육성 프로그램의 도입이 시급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벤처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범위의 한계가 있다.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