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척지에서 재배된 양마(Kenaf)의 해부학적 특성(I)-사부와 목부의 생장기관과 높이에 따른 차이-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Grown in Reclaimed Land(I)-Differences in Phloem and Xylem with Growth Period and Height-

  • 이선화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이세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권성민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이명구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조동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Lee, Seon-Hwa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Se-na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won, Sung-Min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Myoung-Ku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 Dong-Ha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Hun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7.07.17
  • 심사 : 2007.08.22
  • 발행 : 2007.11.25

초록

국내 간척지에서 생장한 양마(kenaf)의 생장기관과 높이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2006년 5월에 파종한 케나프를 동년 7, 8, 9,10월 총 4회에 걸쳐 채취하고, 각 생장기간 별로 3, 35, 70, 105 cm의 높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부에는 인피섬유, 방사조직, 사관이 존재하였고 목부에는 도관, 목섬유, 방사조직과 수가 존재하였다. 목질부의 도관은 산재상으로 고립관공과 방사복합관공이 혼재하였고 도관상호간벽공은 교호상 벽공의 형태가 관찰되었다. 또한 목부의 방사조직은 단열, 복열 및 다열방사조직이 혼재하였고 방사유세포의 형태는 직립, 평복, 방형세포가 모두 존재하였다.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부와 목부가 증가하였고 수심부가 감소하였으며, 인피섬유의 층수와 사부방사조직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사부에 있어서 형성층부위에 가까운 인피섬유의 층이 외층부의 인피섬유의 층보다 더 크고 세포수가 많았다. 또한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접선단면에서 다열방사조직이 많이 관찰되었다. 생장 높이가 높아질수록 사부가 증가하였고 목부가 감소하였으며, 인피섬유의 층수와 사부방사조직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생장높이가 높아질수록 접선단면에서 단열방사조직이 많이 관찰되었다.

Anatomical properties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planted in a reclaimed-land of Korea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by an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amples of kenaf were taken from four positions of the stem (3, 35, 70, 105 cm above from the ground) in four growth periods (July. August, September, October) from seeding planted in the middle of May. Bast fiber, phloem rays, cortex parenchyma cells and sieve tube members were observed in phloem, and vessel elements, fibers and rays in xylem. Solitary and multiple radial pores existed in xylem. The cell types of ray parenchyma in radial section were procumbent, upright, and square. The intervascular pitting showed an alternate type. Xylem proportion, the number of bast fibers and dimension of phloem rays increased with increasing growth perio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stem height. The proportion of multiseriate rays was higher than that of uniseriate and biseriate rays in xylem with increasing growth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multiseriate rays was lower than that of uniseriate and biseriate rays in xylem with increasing stem height.

키워드

참고문헌

  1. Ayezra, R. (h) and W. Coates. 1996. Kenaf performance in northwestem Argentina. Industr.Crops Products. 5: 223-228 https://doi.org/10.1016/0926-6690(96)89453-2
  2. Ching, A., C. L. Webber III, and S. W. Neill. 1993. Effect of location and cultivar on kenaf yield components. industr. Crops Products. 1: 191-196
  3. Lewin, M and E. M. Pearce. 1998. Handbook of fiber chemistry. Marcel Dekker, Inc. 1: 465-502
  4. Mambelli, S. and S. Grandi. 1995. Yields, and quality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stem as affected by harvest date and irrigation. Industr. Crops Products. 4: 97 -104 https://doi.org/10.1016/0926-6690(95)00021-4
  5. Manzanares, M, J. L. Tenorio., P. Manznares, and L. Ayerbe. 1993. Yield and development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crop in ration to water supply and intercepted radiation Biomass and Bioenergy. 5: 337 - 345 https://doi.org/10.1016/0961-9534(93)90013-T
  6. Ramaswamy, G. N., B. Soeharto, C. R. Boyd., and B. S. Baldwin. 1999. Forest kill and kenaf fiber quality. Industr. Crops Products. 19: 189-195
  7. Voulgaridis, E., C. Passialis, and A. Grigoriou. 2000.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property of kenaf stems (Hibiscus cannabinus). lAWA Journal. 21(4): 435-442
  8. 강시용, 김판기, 유장걸. 2001. 케나프 품종의 생육 및 광합성 특성. 한국작물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회. pp. 214-215
  9. 권영만, 황원중, 권성민, 조준형, 이명구, 김남훈 .2005. 국내에서 생장한 케나프의 해부학적 특성. 산림과학연구. 21: 98-103
  10. 김남훈, 황원중, 권구중, 권성민, 이명구, 조준형. 2006. 국내에서 생장한 Kenaf (양마)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목재공학 34(3): 1-7
  11. 김희태, 박찬호, 손세호. 1989. 공예작물학. 향문사. pp.97-105
  12. 류승원, 주은영, 김성무, 김병완, 조동하. 2006 철원지역에서 Kenaf 품종들의 재배 생리적 특성. 공동춘계학술발표회. 한국작물학회. 한국작물학회지. pp. 280-281
  13. 산림청. 2005. 임업통계연보. 제35권 pp.281-287
  14. 유혜자, 이혜자, 김정희, 안춘순, 송경헌, 한영숙 2006. 화학처리에 의한 케나프 섬유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 한국의류학회지. 30(7): 1025-1033
  15. 이명구, 윤승락. 2003. 국내산 케나프 이용에 관한 연구 (제1보) 국내에서 재배한 케나프의 생장 및 해부학적 특성. 한국펄프.종이 공학, 펄프.종이기술. 34(4):68-74
  16. 조남석, 최태호. 1996. 속성섬유자원인 양마로부터 전동 한지제조특성. 한국펄프.종이공학, 펄프.종이기술 28(4): 7-16
  17. 박상진, 이종윤, 조남석, 조병묵. 1993. 목재과학실험서 (물리.공학.화학편). pp. 49-53
  18. 조남기, 송창길, 강봉균, 조영일, 고지병. 2001. 제주지역에서 재식밀도에 따른양마의 생육특성, 수량 및 조성분 변화. 동물자원지 43(5): 755 - 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