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임금격차 변화 - 혼인상태 및 직종특성별 비교 -

Korean Wage Gap: Do the Marital Status of Workers and Female Dominance of an Occupation Matter?

  • 정진화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발행 : 2007.08.31

초록

본 연구는 1985~2004년 기간 중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임금격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Oaxaca and Ransom(1994)의 분해방법을 사용하여 성별 임금격차를 생산성 차이와 가격 차이(관찰되지 않은 생산성 차이 및 차별)로 분해하고, 임금격차에 대한 인적자본 특성별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지난 20년간 생산성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는 크게 줄어들었으나 가격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는 매우 미미한 감소세를 보였다. 가격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는 미혼여성에 비해 기혼여성에게서 훨씬 크게 나타나서, 육아부담 등으로 인한 관찰되지 않은 생산성 차이가 성별 임금격차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가격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는 또한 남성집중직종에 비해 여성집중직종에서 훨씬 작으며, 이는 여성 고용에서 네트워크 외부효과가 존재할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 of the gender wage gap and its sources in the Korean labor market for the years 1985-2004. Following Oaxaca and Ransom (1994), the gender wage gap is composed of the productivity-related gap and non-productivity-related gap (unobserved productivity gap and discrimination).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both the productivity-related gap and non-productivity-related gap have dwindled, while the decline of the former far excelled that of the latter. The non-productivity-related gender wage gap is much larger for married women than for single women, possibly implying a lower unobserved productivity of married women because of their childcare responsibilities. The non-productivity-related gap is also very substantial in the male-dominated occupations as compared to the female=dominated occupations, supporting the existence of network externalities in employ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