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Stenting versus Surgical Bypass in Gastric Outlet Obstruction Caused by Gastric Cancer

위암 날문부 폐쇄 환자에게 시행한 치료의 비교고찰: 위-공장 우회술과 금속성 자가팽창성 스텐트 삽입술

  • Jo, Seung-Jin (Department of Surger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n, Ki-Young (Department of Surger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Kyung-Hyun (Department of Surger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Moo-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eun-J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Ji-Ho (Department of Radiolog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Ho (Department of Surger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조성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윤기영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최경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무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선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지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진단영상의학과교실) ;
  • 이상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Purpose: In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gastric outlet obstruction, there are several complications such as malnutrition and vomiting. Palliative enteral stenting is a less invasive procedure as compared with a gastrojejunostom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that undergone palliative enteral slanting and patients that had received a bypass gastrojejunostomy.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patients underwent palliative entering stenting and 3f patients were subjected to a surgical bypass gastrojejunostom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ith gastric outlet obstruction secondary to far advanced gastric cancer that were diagnosed using a gastrofibroscope, UGI and abdominal CT, and were admitted to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August 2006. The outcome of stent placement for gastric outlet obstruction was compared with palliative gastrojejunostomy during the same period. We excluded patients with recurrent gastric cancer and double cancer from this stud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patients that underwent slanting and the group of patients that received a gastrojejunostomy regarding the age of patients ($67{\pm}12$ vs. $57{\pm}9$, P<0.001) but not between the sex of the patients (M : F, 2 : 1 vs. 2 :1, P=0.637).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stenting was tumor ingrowth (16/100, 16%) and the second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stent migration (14/100). Failure of the procedure occurred in only three patients. Twenty-three patients underwent re-slanting and one patient required open conversion with a gastrojejunostomy. The median time to the first meal was $4{\pm}2$ days in the stent group of patients and $6{\pm}2$ days in the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P=0.001). The median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were 9 days in the stent group of patients and 15 days in the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P=0.003). The mean survival periods were 11 months in the stent group of patients and 10 months in the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P=0.937).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urvival rates. An earlier first meal and a shorter hospitalization stay were found in the slanting group of patients compared to the bypass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However, re-slanting was a concern due to tumor ingrowth and stent migration.

목적: 위암에 의한 위출구 폐쇄는 다양한 소화기 증상과 영양 실조를 야기하며, 따라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생명을 단축시킨다. 이처럼 위날문부 폐쇄 환자에게 시행하는 스텐트삽입 시술은 위 공장 우회술에 비교하여 덜 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시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암에서의 스텐트 시술의 효과와 위공장 우회술의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내시경 및 위장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위암으로 인한 위 날문부 폐쇄를 진단 받고, 위 날문부 스텐트 삽입시술을 받은 환자군과 위공장 우회술을 받은 환자군 간의 데이터 통계를 1개월에서 46개월까지 추적 관찰한 외래 차트를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이 중 위암의 재발로 인해 시술을 받은 환자와 이중암(double cancer)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과: 100명의 환자가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았고, 31명의 환자가 위 공장 우회술을 시행받았다. 두 그룹 간 남녀 성별 비는 통계적인 의미가 없었으나(스텐트 M : F 2 : 1, 우회술 M : F 2 : 1, P=0.637) 연령은 스텐트군은 $67{\pm}10$, 우회술군은 $57{\pm}10$ (P<0.001)으로 통계적인 의미가 있었다. 스텐트 삽입군에서 수술을 못한 이유는 60%의 경우 암진행, 34%의 경우는 고령, 6%의 경우는 동반질환의 중중도에 의하였고, 스텐트 시술 후 가장 gms한 합병증은 스텐트내 종양성장, 다음으로 스텐트 이동이었고 시술의 실패는 3%였다. 두 군 간 시술 후 유동식까지 걸린 시간은 스텐트군 $3{\pm}2$ (일), 우회술군은 $6{\pm}2$ (일)(P=0.003) 그리고 시술 후 입원기간은 스텐트군 $5{\pm}2$ (일), 우회술군 $15{\pm}6$ (일)(P<0.001)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결론: 위암의 날문부 폐쇄 환자에게 시행한 자가팽창 금속성 스텐트 시술은 위장 우회술에 비하여 빠른 식 사진행과 짧은 입원기간으로 효과적인 시술일 수 있지만, 스텐트가 움직이거나 종양의 재성장으로 인해 스텐트를 다시 시술해야하근 불편함이 있는 등 스텐트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이 많아서 향후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