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슬토 추출물(Mistletoe Extract)이 위암환자의 수술 후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Immunological Effect of Mistletoe Extract on Gastric Cancer Patients

  • Yang, Sung-Woo (Department of Surgery, Seoul Medical Center) ;
  • Shin, Dong-Gue (Department of Surgery, Seoul Medical Center) ;
  • Kim, Il-Myung (Department of Surgery, Seoul Medical Center) ;
  • Yoon, Seong-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Medical Center) ;
  • Lee, Yong-Jik (Research Institute, Seoul Medical Center) ;
  • Heo, Su-Hak (Research Institute, Seoul Medical Center) ;
  • Kim, Tae-Hee (Department of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07.09.30

초록

목적: 미슬토 추출물은 서양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진 면역치료 물질로 위암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수술 받은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제와 미슬토 추출물의 병합투여가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원발성 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수술을 받은 10명의 환자를 선정하여 항암화학요법과 병행하여 수술 후 7일째부터 미슬토 추출물(ABNOVA viscum-Q)을 주 3회, 총 16주간 피하주사 하였다.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는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백혈구수와 그 분획, 백혈구에 대한 총림프구의 분율 그리고 시토카인들(Interleukin-$1{\beta}$, Interleukin-2, Interleukin-6, Interferon-$\gamma$,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상기 항목들은 수술 전과 수술 후 8주, 16주 총 3회 측정되었다. 결과: 남녀비는 9 : 1이며, 평균연령은 55.9세(range $33{\sim}74$세)였다. 병기는 stage Ib가 4명, II가 6명이었다. 백혈구수와 총호중구수는 기저치에 비해 치료 후 8주와 16주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총호산구수는 기저치에 비해 8주와 16주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5). 총림프구의 수치는 치료 전후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만 백혈구 수에 대한 총 림프구의 분율은 유의하지는 않지만(P=0.91)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각각의 시토카인들은 치료전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치료 전후 의미있는 면역반응의 증가는 관찰하기 어려웠다. 이것은 미슬토 추출물과 항암제의 병용투여에 의한 면역활성과 억제의 상쇄반응으로 생각된다. 총호산구수가 증가하였고, 백혈구에 대한 림프구의 분율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것은 미슬토 추출물에 의해 유발된 면역반응으로 생각된다.

Purpose: Mistletoe (Viscum album L.) extract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gents in alternative cancer therapeutic regimens in Europ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istletoe extract on immune function in gastric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that had undergone a curative gastrectomy were enrolled in the prospective study. ABNOBAviscum $Q^{(R)}$ was injected subcutaneously three times a week from postoperative-day 7 to week 16 with an increasing dose. All of the patients simultaneously received chemotheraphy with mitomycin, oral 5-FU and a cisplatin regimen. The WBC count, differential count, lymphocyte/WBC ratio and the level of cytokines (IL-$1{\beta}$, IL-2, IL-6, IFN-$\gamma$, TNF-$\alpha$) were checked in the peripheral blood preoperatively, at postoperative week 8 and at postoperative week 16. Results: The WBC and neutrophil count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on week 8 and week 16 (P=0.001), but the total eosinophil count was slightly increased (P=0.15). The total lymphocyte count also decreased during treatment but the lymphocyte/WBC ratio was slightly increase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91). The cytokine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treatment. Conclusion: It is somewhat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rect effect of mistletoe therapy on immune function as the effect may be compromised by the concurrent chemotherapy. It can be assumed that the slightly increased lymphocyte/WBC ratio and eosinophil count may be a result of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the mistletoe extra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