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대금굴의 환경과 관광화에 관한 연구

  • 발행 : 2007.06.30

초록

대금굴은 3년여 동안 암석 틈새를 들춰내며 150m쯤 물길을 찾아 들어가, 다시 18m의 수직동굴로 하강하여 좁은 틈새를 비집고 70m를 들어가는 악전고투의 탐사 끝에 2003년 동굴을 발견했다. 이렇게 3년여 동안 발굴된 대금굴은 또다시 4년여 동안의 모노레일 설치와 동굴내부 관람로 및 조명설치 등의 공사를 거쳐 2097년 6월 5일 일반 공개를 하였다. 총 길이 610m 중 4분의 3정도는 동굴 입구로 향하는 산길이고 나머지는 동굴 안쪽 길이다. 승강장에서 동굴 내부 140m에 설치된 "대금역"까지는 약 7분이 걸린다. 운전석이 없고 자동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앞뒤로 동굴 안팎이 잘 보인다. 동굴 내부에 열차를 타고 들어가는 건 분명 이색체험이다. 그러나 모노레일 내부에 울리는 비발디의 "사계"라든지 동굴 벽에 붙여 놓은, 네온 빛에 가까운 퍼런 빛깔의 조명이 조용한 동굴 감상에 역효과가 초래될 수도 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Oh, Jongwoo, M. Day, B. Gladfelter, G. Huppurt, G. Fludland, and M. Kolb. 1991. Potential sources of th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dom Driftless Area. 지리학논총 19호, 31-58
  2. Oh, Jongwoo. 1992.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Karst. University of Wisconsin Ph.D Dissertation. 201p
  3. Oh, Jongwoo. M. Day, and B. Gladfelter. 1993. Geomorphic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Holocen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1993 World Korean Scientists Symposium Proceeding -Geosience secton-. Korean Fedr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390-397
  4. 오종우. 1993. Karstic Sinkhole Sediments of Dolostone in the Upper Midwest's Driftless Area, USA. 동굴 34호, 78-104
  5. 오종우, 1993. 북한지역의 카르스트 지형. 북한의 지형. 한국과학기술. 107p
  6. 오종우, 1993. 북한지역의 카르스트 분포와 동굴지형. 동굴 37호. 13-32
  7. 오종우, 1994. 카르스트 지형과 동굴지형. 동굴 37호. 89-96
  8. 오종우, 1994. Soils and landforms on the loess mantled karst uplands in southwestern Wisconsin. 동굴 36호. 103-113
  9. 오종우, 1994. GIS를 이용한 동굴지형 연구. 동굴 39호
  10. 오종우, 1994. 고씨동굴의 발달과 특성. 동굴 38호
  11. 오종우, 1995. 카르스트지형에 관한 기초공간 정보. 동굴 40호. 97-116
  12. 오종우, 1995. A Geoarchaeological Review of the Fan Sites in the Lower Illinois Valleys, USA. 환동해권의 시간과 공간의 교감- 목지 오홍석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I. 753-768
  13. Oh J. 외 1인. 1991. Sediments of the Seneca Sinkhole in the southwestern Wisconsin. The Wisconsin Geographer 7. 25-39
  14. 오종우 외 5인. 1991. Potential sources of th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지리학총 19. 31-58
  15. Oh JONGWOO. 1992. Sinkhole Sedimens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Karst. University of Wisconsin Ph.D Dissertation. 201p
  16. J. Oh 외 2인, Geomorphic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Holocen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1993년도 세계한민족과학기술자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기초과학분과(지구과학)-.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390-397
  17. 오종우. 1993, Karstic Sinkhole Sediments of Dolostone in the Upper Midwest's Driftless Area, USA. 동굴 34(35). 78-104
  18. 오종우, 1993. Blacks' Economic Activities in Chicago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지역개발논문집 43-52
  19. 오종우, 1993. 시카고 부분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의 이용. 지형공간정보 1(2), 223-235
  20. 오종우 외 8인, 1993. 용연동굴 내부 개발기본구상 및 실시계획 (지형분야). 강원도 태백시. 154p
  21. 오종우 외 12인, 1993. 만장굴 학술조사 보고서 (환경분야). 북제주군. 236p
  22. 오종우. 1993. 지역개발에 수반되는 동굴지역의 지형조사. 동굴 35(36) 32-36
  23. 오종우외3인. 1993. 북한지역의 지형연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07p
  24. 오종우 외 1인, 1994. 북한의 카르스트지형과 동굴분포와 상관성
  25. 오종우 외1인, 1994. 동굴 36(37). 13-32
  26. 오종우, 1994. 북한의 화산지형 소고. 동굴 36(37), 33-37
  27. 오종우외1인, 1994. 태백시 용연동굴 지대의 지리환경. 동굴 36(37), 81-102
  28. 오종우, 1994. Soils and landforms on the loess mantled karst uplands in southwestern Wisconsin. 동굴 36(37), 103-113
  29. 오종우외 1994. 고씨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 학술조사연구보고서. 영월군. 155p
  30. 오종우, 1994. 카르스트(KARST)의 지표지형과 동굴지형. 동굴 37(38) P.89-96
  31. 오종우외. 1994. 고수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 학술조사연구보고서. (주)유신. 169p
  32. 오종우. 1995. 카르스트 지형에 관한 기초공간정보. 동굴 41: 97-10
  33. 우경식, 원종관, 1988. 삼척군 대이리 동굴군의 관음굴과 화선굴내의 발달한 동굴생성물의 초기 광물성분과 탄산염 속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25(1), p.90-97
  34. 우경식, 대이리 동굴군 학술조사보고서, 원종관 외 9명, 1987년 12월, 삼척군, 151p
  35. 우경식, 1989, 강원도 평창군 백룡굴 종합학술조사, 문화공보부, 평창군, 연구원
  36. 우경식, 1988-1991, 강원도 태백일대의 지구조 및 암석학적 연구, 과학재단, 연구원/연구책임자
  37. 우경식, 1987-1988, 한반도 신제3기층의 고해양학적 연구, 학술진흥재단, 연구원
  38. 우경식, 1987-1987, 강원도 삼척군 대이리 동굴군 종합학술조사, 문화공보부, 삼척군, 연구원
  39. 우경식, 1987-1988, 양식 진주의 조직적, 동위원소적, 지화학적 연구, 학술진흥재단, 연구책임자
  40. 우경식, 1987-1989, 강원도 조선누층군 탄산염암에서 발견되는 화석 및 비화석 구성요수의 초기광물 성분과 탄산염 속성작용, 과학재단, 연구책임자
  41. 우경식, 1999, 강릉 옥계지역 동굴 개발타당성 조사, 강릉시, 연구책임자
  42. 우경식, 1998-1999, 환선굴 내부 학술조사, 삼척시, 연구원
  43. 우경식, 1998-1999, 영월댐 수몰지 동굴세부조사 용역, 수자원공사, 연구원
  44. 우경식, 1997-1998, 중국 석유탐사 및 개발기술 조사분석 연구, STEPI, 연구원
  45. 우경식, 1997, 미탄면 일원 동굴탐사 실시용역, 평창군, 연구책임자
  46. 우경식, 1997-1998, 한반도 동해안에서 서식하는 이매패류 각질의 조직적 및 지화학적 연구 : 고해양학적 의미, 교육부, 연구책임자
  47. 우경식, 1996-1998, 한반도 중-서부 연안해역 퇴적환경과 육상지질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교육부, 연구원
  48. 우경식, 1996, 춘천 감정리 동굴개발 자료조사, 춘천시, 연구책임자
  49. 우경식, 1995, 평창군 미탄면 돈너머 일대의 석회암동굴 예정지조사 보고서, 평창군, 연구원
  50. 우경식, 1995, 용연동굴 학술조사, 태백시, 연구책임자
  51. 우경식, 1999, 석회동굴의 지질학적 의미와 연구방향, 99 Samchok International Cave Symposium & Festival, Samchok,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