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배경과 주거문화 - 개항 이후 토막민촌부터 한구전쟁 직후 판자촌까지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Urban Squatter in Korea and their Housing Culture from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 전남일 (가톨릭대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과) ;
  • 양세화 (울산대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 홍형옥 (경희대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 손세관 (중앙대 건축학부) ;
  • 김묘정 (가톨릭대 생활과학연구소)
  • 발행 : 2007.06.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ormation background of urban squatter and their housing state in Korea. This study was progressed on the basis of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from the opening of a port to the after the Korean War. In that sense, this study considered meaning of housing for urban squatter in the Korean housing history. For this study,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urban squatter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was after the opening of a port (1876-1910) when the inflow of Japanese and their plundering from Korea started. The second was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0-1945) which contribu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omak (mud hut) and made the Tomak-min's village. The third period was Korean war & postwar years (1945-1953). This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again;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1945-1950),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and after the Korean War (1953-). The urban squatter was settled in the national land and the public land in each period and experienced the severe housing shortage. The government of the time could not protect the urban squatter from the special national states such as the Japanese rule and the Korean War.

키워드

참고문헌

  1. 川村(2004), 吉川 역, 한양 경성 서울을 걷다, 다인아트
  2. 강만길(1995), 일제시대빈민생활사연구, 창비
  3. 강영환(2002), 새로 쓴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4. 경기도박물관(2003), 먼나라 꼬레-이플리트 프랑맹의 기억 속으로,경인문화사
  5. 京城帝國大學衛生調査部(1942), 土幕民の生活.衛生, 岩波書店
  6. 김병호 . 김성광 . 정갑식 . 유길준(1999), 불량주택지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10), pp.35-46
  7. 김선재(1987), 한국근대 도시주택에 관한 연구: 일제시대 서울지역의 새로운 도시주택 유형을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성환(2005), 고바우 김성환의 판자촌 이야기, 열림원
  9. 김영석(1985), 도시빈민론, 아침
  10. 김영자 편역(1994), 서울, 제2의 고향-유럽인의 눈에 비친 100년 전 서울-, 서울학연구소
  11. 김영재, 박용환(2000), 무허가정착지 재개발에 따른 근린관계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1), pp.395-398
  12. 노병일,윤경아(2004), 주거빈곤층의 삶과 터전, 다운샘
  13. 대한주택공사(1979), 대한주택공사 20년사, 대한주택공사
  14. 동아일보, 1931/12/05, 1938/04/19, 1938/10/12
  15. 박태원(1939), 골목안, 문장 1권 10호
  16. 박영기(1973), 서울시 저소득층 주거환경에 관한 조사분석-연희지역의 무허가불량주거지역과 시민아파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7(55), pp.25-29
  17. 北岳生(1932), 도시의 주택란과 기대책, 신동아 2(10)
  18. 서울특별시(1981), 서울육백년사 제4권(1910-1945)
  1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2002), 사진으로 보는 서울1: 개항 이후 서울의 근대화와 그 시련(1876-1910), 서울특별시
  2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2002), 사진으로 보는 서울4 : 다시 일어서는 서울(1961-1970), 서울특별시
  21. 손세관(2004), 한국 근현대 주거사를 바라보는 시각,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5권, pp.1-10
  22. 손정목(1982), 한국개항기 도시사회경제사 연구, 일지사
  23. 손정목(1996),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 일지사
  24. 손창섭(1953), 사선기(死線記), 문예 6월호,경인문화사
  25. 염복규(2002), 일제말 경성지역의 빈민주거문제와 시가지 계획, 역사문제연구 제8호, pp.129-130
  26. 우동주(2000), 한국전쟁이 도시 분산에 남긴 것-포화없는 전쟁터 부산항, 이상건축 6월호
  27. 유치진(1931), 토막, 문예월간 12월호, 경인문화사
  28. 이관구 . 임철희 . 김용하 . 이동배(2000), 불량주거지의 공간특성과 주거형태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1), pp.351-506
  29. 이관구 . 박철만 . 이동배(2003), 도시불량주거지의 건축물 재료특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3(1), pp.503-506
  30.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경관, 열화당
  31. 이범선(1959), 오발탄, 현대문학 10월호, 현대문학사
  32. 이상백(1962), 한국사-근세전기편-, 을지문화사
  33. 이지연 . 이선구(1997), 서울도심 경사지불량주택 재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7(2), pp.545-552
  34. 이호철(1955), 탈향(脫鄕), 문학예술 7월호,문학예술사
  35. 장성수(2000), 한국전쟁과 건축-도시주거에 투영된 전쟁과 분단의 환경, 이상건축 6월호
  36. 정동익(1985) . 도시빈민연구. 아침
  37. 조용훈 . 이광노(1988), 서울시 불량주거지 형성배경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4(6), pp.61-72
  38. 조용훈(1984), 한국도시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조선총독부(각년도), 통계연보; 국세조사보고서
  40. 朝鮮總督府(昭和19年; 1945년), 朝鮮事情, 京城
  41. G. 로스(2004), 이경희.김은령 역, 호주 사진가의 눈을 통해 본 한국 1904, 교보문고
  42. 채만식(1997), 탁류-우한용 해설.주석, 서울대출판부
  43. 채만식(1994), 정거장 근처, 신원문화사
  44. 한국사회사연구회(1993), 한국 근현대가족의 재조명, 문학과 지성사
  45. 한국언론자료간행회(1987), 한국전쟁종군기자2, 한국언론자료간행회
  46. H.N 알렌(1908), 신복룡 역(1979), 조선견문기, 박영사
  47. W.E. 그리피스(1882), 신복룡 역(1999), 한말 외국인기록3-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48. 서울특별시 서울육백년사: http://seouI600.visitseou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