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Content o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Actual Condition of the Overlapping Analytic Syllabus

치위생과 교육내용 및 교수요목 중복실태 분석

  • Received : 2007.03.02
  • Accepted : 2007.03.24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standardization method for new dental hygiene curriculum by identifying the overlapping of education content of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analytic syllabus. To complement these overlapping education programs, I would like to make some proposals. First, unified course shall be provided by compromising specific terms of overlapping subject, overlapping curriculums for the necessary skills required for job analysis of dental hygienist and overlapping class time. This shall increase the efficiency the class time and required curriculums. Next, proactive and continuos research for standardized approach to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education content is necessary and Dental Hygiene academic circle shall build trust.

우리나라의 치위생과에 개설된 교과과정의 중복된 세부용어를 조사, 분석하고 현 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교육의 체계화와 활성화를 위한 교과과정의 표준화 방향제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치위생과 교육내용 및 교수요목 중복 실태를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1. 교과서 목차별 세부용어와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문항개발 기준작성을 위한 핵심용어 기준안(2003)의 세부용어가 중복되어진 교과목이 있었다. 2.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문항개발 기준작성을 위한 핵심용어기준안의 세부용어에서는 제시되지 않고 교과서 목차별 세부용어상에만 제시된 교과목이 있었다. 3. 교과서 목차별 세부용어상에는 제시되지 않고 치과위생사국가시험 문항개발 기준작성을 위한 핵심용어 기준안의 세부용어상에만 제시된 교과목이 다수 있었다. 4. 교수협의회(2002)가 작성한 대학 치위생과 학습목표 기준 학습시간을 조사한 세부용어에 대입하여 비교한 결과 학습시간이 교과목상 세부용어와 다수 중복되어 나타났다. 5. 교과서 기준 다빈도 중복세부용어로는 잇솔질, 치면세마, 치아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타액이 3개 교과목 이상에서 중복용어로 나타났으며, 학습목표기준 학습시간과 비교분석한 결과 1시간~6시간의 학습시간이 배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