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3D Digital Map Editing System

3차원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개발

  • 이재기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기석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3D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have been processed and utilized in varied fields. However, the research of the 3D digital map for a role of national base map is not enough. The draft maps, which are raw data for generating 2D digital map, shows problems in generating 3D digital map.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3D digital map editing system for modifying and editing of 3D digital map from 2D vector and raster information such as a draft map, 2D digital map, DEM, aerial photo and so forth. This 3D digital map editing system was designed to include data structure of geometric and attribute object under provision of ISO/TC211 and OGC standard. This system was developed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3D stereo editing based on stereo viewing, 3D view editing based on projective, and 3D spatial operation. Using this system, 3D digital maps were able to be successfully produced from not only existing draft maps but also modified or edited draft maps and then applic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3차원 공간정보구축 사업은 현재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지만, 3차원 국가기본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3차원 수치지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2차원 수치지도 제작의 원시자료인 도화원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3차원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원도의 수정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도화원도, 수치지도, DEM, 항공영상 등의 2차원 벡터 및 래스터 자료로부터 3차원 수치지도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는 3차원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시스템은 ISO/TC211과 OGC의 표준안인 기하 및 속성객체의 자료구조를 수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입체시 기반의 3차원 입체(stereo 3D) 편집기능, 투영 기반의 3차원 뷰(2.5D) 편집 기능 및 3차원 공간연산자에 대해 설계 구현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수치지도 편집시스템을 활용하여 기존에 제작된 도화원도를 이용한 3차원 수치지도의 제작과 기존 도화원도를 수정 편집하여 3차원 수치지도를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적용 결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6),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지도학적 차원의 변화모색, 연구보고서
  2. 박승용, 이재빈, 유기윤, 김용일 (2006), 3차원 심볼을 활용한 3차원 수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5호, pp. 417-424
  3. 이동천, 유근홍, 손은정, 김호성, 문용현 (2006), 도화원도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수치지도 생성과 편집 시스템 개발,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59-367
  4. 건설교통부 (2004), 3차원 공간정보구축 시범연구, 연구보고서
  5.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4), 3D Virtual 국토정보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6. 최종현, 조우석 (2003), 3차원 도시공간 모형의 활용성 연구,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7.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3),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백서, 보고서
  8. 최윤수, 한상득, 위광재 (2002), 도화원도를 이용한 LiDιAR DEM의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제20권, 제 2호, pp. 1273-136
  9. Bandova, T. (2005), Innovative technology for the creation of 3D maps, Data Science Journal, Vol. 4, pp. 53-58 https://doi.org/10.2481/dsj.4.53
  10. Ildiko, S., George, V. (2004), Reconstruction of 3D build models from aerial images and map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ISPRS, Vol. 58, pp. 202-224 https://doi.org/10.1016/j.isprsjprs.2003.09.006
  11. Lukas, Z., Andreas, K., Barbara, G. G., and Konrad. K. (2006), Towards 3D map generation from digital aerial image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ISPRS, Vol. 60, pp. 413-427 https://doi.org/10.1016/j.isprsjprs.2006.06.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