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Disposition of Ornament for the Traditional Costume - Focus on Women's Jegori and Chima in South and North Korea -

전통의상에 사용된 장식의 배치구도에 관한 연구 - 남북한 여성 저고리, 치마를 중심으로 -

  • 정혜경 (경남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07.05.03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is survey is about the disposition of ornament for the traditional women's Jegori and Chima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Disposition of part was used a lot in Jegori and Chima by both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existence of ornament, the number and range decorated part and a type of disposition,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 were not many Chimas with ornament in South Korea, which means that South Korea focused on decorating Jegori. The number and range of decorated part in South Korea were many. Disposition type of Jegori ornament in South Korea was various but in North Korea disposition of type of Chima ornament was variou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disposition, South Korea's Jegori tended to follow the traditional disposition. In case of Chima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Jegori in North Korea, the proportion of traditional disposition, altered traditional disposition and modern disposition was little different.

Keywords

References

  1. 강관식 (1997) '동양화구도론'. 미진사, 서울, p.6
  2. 경공업성 피복연구소 (2002) '민족옷'. 외국문 인쇄공장, 평양
  3. 경공업위원회 (1995) '조선민족옷'. 외국문종함출판사 인쇄공장, 평양
  4. 권순정.송경자 (1999) 한국복지 문양과 색채에 관한 연구('97년도를 중심으로). 복식, 43, 31-39
  5. 김옥녀.정희수.리광옥.김복순.신영옥.김영실.김수경.문진숙 (2002) '옷본보기'. 경공업성피복연구소, 평양
  6. 리유미 (1995) '조선민족의상'. 평양종합인쇄공장, 평양
  7. 리유미 (1999) '아름다운 조선옷'. 공업종합출판사, 평양
  8. 리유미.김정란.홍성희 (2001) '옷도안과 설계'. 2.16예술교육출판사, 평양
  9. 아름다운 우리옷 (1995-1999) 서울
  10. 이자연 (1999) '일본복식사'. 경춘사, 서울, pp.136-151
  11. 옥명선.박옥련.이주영 (2005) 고려후기 彌陀如來圖복식에 표현된 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58-69
  12. 온고지신 (1999-2000) 도서출판 전통을 이어가는 사람들, 서울
  13. 이주영.장현주.도주연.장정아 (2004) 보문(寶紋)의 유형과 조형성 연구. 복식, 54(2), 11-23
  14. 이진민.김민자 (2006) 동양 미학적 관점에 의한 한, 일 여성 전통 복식의 미적 특성 고찰. 복식, 56(5), 132-149
  15. 장수경 (1994) 한국전통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2), 283-295
  16. 장현주.하종경 (2005)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동물문양의 유형과 특성. 복식, 55(5), 65-77
  17. 정혜경.박영희 (2004) 한복에 사용된 장식문양을 통하여 본 전통-현대화 작업에 대한 분석. 복식, 54(1), 11-21
  18. 정혜경 (2006) 남북한 전통의상에 사용된 장식문양에 관한 비교연구 - 1990년대 중반이후 여성 한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627-633.
  19. 최경순.김수경 (1999) 1990년대 후반 한국 전통의상에 사용한 문양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5), 140-151
  20. 하덕순 (1993) 한복에 장식된 문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한복 (2001-2005) (주)온고지신,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