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Body Language in Animation as Functional Aspects -Focusing on Mulan, Beauty and the beast, Aladdin, Sinbad-

기능론적 관점에서 본 애니메이션의 신체언어 연구 - 뮬란, 미녀와 야수, 알라딘, 신밧드를 중심으로-

  • 정미강 (부산대학교 영상정보협동과정 영상정보공학과) ;
  • 이미영 (부산대학교 영상정보협동과정 영상정보공학과) ;
  • 김성희 (부산대학교 영상정보협동과정 영상정보공학과) ;
  • 김재호 (부산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영상정보협동과정 영상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Non-verbal communications are important because they support and replace verbal communication. Body language of various non-verbal communications is the communication using the body. In animation, expression of body language is very important because charact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the scenario. Animation has a dual communication structure, different from general communication. One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character and the hearer character, the other is the image and the audience, which includ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character and the hearer character. In this study, we divide the body language from the characters into the discourse-in act and discourse-out act according to this dual structure and classify it into adaptors, emblem, illustrator, regulator, affect display by a functional approach method. Especially, the illustrator is subdivided into pragmatic speech act.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features of body language in animation and represents animation character's body language for an effective expression of the communications in anim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조하고 대체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 중 신체언어는 몸을 통한 의사소통 전반을 말한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시나리오 전달에 있어서 캐릭터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와 같은 신체언어 연출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애니메이션의 의사소통 구조는 일반적인 의사소통 구조와는 달리 이중적인 의사소통 구조를 가지는데, 첫째는 화자 캐릭터와 청자 캐릭터 사이의 의사소통이고, 둘째는 영상과 관객 간의 의사소통으로 이는 첫 번째 의사소통 구조까지 모두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중적 구조에 기반하여 애니메이션의 의사소통 구조를 담화내적, 담화외적 구조로 나누고, 기능적 분류법을 이용하여 캐릭터의 신체언어를 적응, 상징, 설명, 조정, 감정표현 행위로 분류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분석 애니메이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설명행위는 화용론적 분류인 발화 행위론으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각각의 신체언어를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되는 신체언어의 특징을 규명하고, 효과적인 시나리오 전달과 관객의 감정이입을 도울 수 있는 효율적인 신체언어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