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발췌를 위한 탄성파 신호분석연구

A Study in Seismic Signal Analysis for the First Arrival Picking

  • 이두성 (한성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7.05.31

초록

초동발췌 방법과 이와 관련된 오차문제를 고찰하고 자료처리 전산화 측면에서 초동발췌 및 오차계산의 실용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초동발췌 방법은 2단계로 구성된다. 1) 초동신호 중 트레이스 간 연속성이 양호한 최초의 피크(peak) 또는 트라프(trough)를 발췌한다. 2) 발췌시점 전방 일정구간의 기록을 직선으로 근사화 하고 이 직선의 시간 절편을 초동주시로 한다. 근사화 구간의 길이는 대략 초동 웨이브렛 폭의 1/4보다 다소 작게 설정한다. 초동발췌에 내재된 오차의 정량적인 척도는 기록의 특정시점에 초동의 도착 여부를 판단하는 데 필요한 기록의 길이로 정의한다. 기록의 길이를 나타내는 공식은 신호의 주파수대역과 신호대잡음비의 함수로 표시된다. 3개의 공대공 탄성파기록의 초동을 수동 및 제안한 방법으로 발췌하였고 각 트레이스의 오차한계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근사직선 시간절편법의 우수한 성능과 발췌된 초동평가에 있어서 발췌오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With consideration of the first arrival picking methodology and inherent errors in picking process, I propose, from the computerization point of view, a practical algorithm for picking and error computation. The proposed picking procedure consists of 2-step; 1) picking the first coherent peak or trough events, 2) derive a line which approximates the record in the interval prior to the pick, and set the intercept time of the line as the first break. The length of fitting interval used in experiment, is few samples less than 1/4 width of the arriving wavelet. A quantitative measure of the error involved in first arrival picking is defined as the time length that needed to determine if an event is the first arrival or not. The time length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frequency bandwidth of the signal and the S/N ratio. For 3 sets of cross-well seismic data, first breaks are picked twice, by manually, and by the proposed method. And at the same time, the error bound for each trace is computed.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goo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icking method, and the usefulness of the quantitative error measure in pick-quality evalu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광범, 이두성, 2002, 최적 토모그램 도출을 위한 시추공간 파 선토모그래피 사례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9, 266-272
  2. 이두성, 2003, 임펄시브형 시추공용 탄성파 송신신호 시작시간 측정에 관한 연구, 물리탐사, 6, 71-76
  3. 이두성, 2006, 시추공간 전단대 특성 규명을 위한 고해상 탄성파 토모그래피, 물리탐사, 9, 255-260
  4. 조창수, 지준, 이두성, 1998, Fresnel 영역을 고려한 비선형 주시 토모그래피, 물리탐사, 1, 43-48
  5. 최재경, 이두성, 2004, Windows용 시추공 탄성파 토모그래피 소 프트웨어, 2004년 대한지구물리학회 한국물리탐사학회 공동 학술대회 초록집, 291-295
  6. Aki, K., and Richards, P. G., 1980, Quality of Seismological Data, Quantitative Seismology: Theory and Methods, 576- 580, W.H. Freeman and Company
  7. Burden, R. L., and Faires, J. D., 2001, Numerical Analysis, 7th Ed., 487, Brooks/Cole
  8. Dines, K. A., and Lyttle, R. J., 1979, Computerized geophysical tomography, Proc. IEEE, 67, 1065-1073
  9. Krajewski, C., Dressen, L., Gelbke, C., and Ruther, H., 1989, Iterative tomographic methods to locate seismic low-velocity anomalies: A model study, Geophy. Prosp., 37, 717-751 https://doi.org/10.1111/j.1365-2478.1989.tb02231.x
  10. Pakisier, L. C., and Steinhart, J. S., 1964, Explosion seismology in the western hemisphere, Research in Geophysics. Cambridge: M.I.T. Press
  11. Ricker, N., 1952, The from and law of propagation of seismic wavelet, Geophys., 18, 10-40 https://doi.org/10.1190/1.1437843
  12. Ricker, N. H., 1977, Transient waves in visco-elastic media, Elsevier
  13. Shanon, C. E.,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4. Sheriff, R. E., and Geldart, L. P., 1985, Exploration Seismology, 56-58,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