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山) 아고산지대(亞高山地帶) 구상나무림 군집구조(群集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Community at Subalpine Zone in Hallasan

  • 김갑태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엄태원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발행 : 2007.05.31

초록

한라산 국립공원의 윗세오름(1,714m) 대피소를 중심으로 한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20개의 조사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MIP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가 57.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주목이 16.2%로 나타났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주목과 산개벚지나무, 화살나무; 사스레나무와 섬매발톱나무, 산벚나무; 산개벚지나무와 화살나무; 섬매발톱나무와 산벚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44%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5-15cm 범위가 대부분을 차지하었다.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Korean native species, the Abies koreana forest at sub-alpine zone centering on the Witsaeorum(1,714m) shelter in Hallasan National Park was selected for a survey subject with 20 plots $(10{\times}10m)$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Mean importance percent(MIP) of Abies koreana showed the highest numerical value-57.7%, and that of faxus cuspidata was the next value-16.2%.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axus cuspidata and Prunus maximowiczii, Euonymus alatus; Betula ermani and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Prunus sargentii; Prunus maximowiczii and Euonymus alatus;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and Prunus sargentii. Vigor of Abies koreana was so low that as much as 6.44% of total number of Abies Koreana investigated were dead. DBH of dead individuals ranged mainly from 5cm to 15c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준, 곽애경, Takao Kikuchi(1997) 한라산 구상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0(2): 293-298
  2. 구경아, 박원규, 공우석(2001)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연륜연대학적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변동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4(5): 281-288
  3.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1991) 반야봉지역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응용생태연구 5(1): 25-31
  4.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 진운학(1994) 덕유산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7(2): 155-163
  5. 김갑태, 추갑철(1999) 덕유산 아고산지대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70-77
  6. 김갑태, 추갑철, 고정군(2001) 한라산 구상나무림 복원을 위한 묘목식재시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 207-212
  7.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1998) 한라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한국임학회지 87(3): 366-371
  8.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지리산 천왕봉-덕평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한국임학회지 86(2): 146- 157
  9.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 국립공원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분비나무림과 주목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60-168
  10. 김윤근, 조종수, 문창국(1999) 구상나무 리그난류 항균활성.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 260-262
  11. 김은식. (1994) 환경변화와 고산지대 수목생장 쇠퇴현상과의 상관성 해석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KOSEF 921-1500-018-2, 89pp
  12. 김인식, 현정오(2000) RAPD분석에 의한 구상나무 천연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한국육종학회지 32(1): 12-18
  13. 文炫植, 李康寧(1994) 德格山 구상나무 林分의 植生構造에 關한 硏究. 경상대학교 부속연습림 연구보고 4: 13-28
  14. 오구균, 지용기, 박석곤(2000)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개체군 동태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30-339
  15. 이강녕, 김현식(1982) 구상나무 천연집단의 침엽형질 변이. 한국임학회지 57: 39-44
  16. 李康寧. (1992) 智異山 구상나무 林分의 直經分布와 群落 構造. 경상대학교 부속연습림 연구보고 2: 1-15
  17. 이상극, 최돈하, 배영수(2006) 국내산 주요 침엽수 잎의 추출 성분(I)-구상나무와 전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목재공학 34(3): 73-83
  18. 이윤원, 홍성천(1995) 구상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임지 84(2): 247-257
  19. 이창복(1970) 구상나무와 새로 발견된 품종. 한국임학회지 10: 5-6
  20. 이창석, 조현제(1993) 가야산 구상나무 군락의 구조 및 동태. 한국생태학회지 16(1): 75-91
  21. 임종환, 우수영, 권미정, 천정화, 신준환(2006) 한라산 구상나무 건전개체와 쇠약개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광합성능력과 수분이용 효율. 한국임학회지 95(6): 705-710
  22. 전승훈(1988) Monoterpene 成分에 의한 분비나무와 구상나무의 分類學的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pp
  23. 정재민, 이수원, 이강녕(1996) 지리산 구상나무 임분의 식생 구조와 치수발생 및 생육동태. 한국임학회지 85(1): 34-43
  24. 정태현, 이우철(1965) 한국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 329-435
  25. McLaughlin et al(1987) An analysis of climate and competetion as contributors to decline of red spruce in high elevation Appalachian forets of eastern United States. Oecologia 72: 487-501 https://doi.org/10.1007/BF00378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