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ment Strategy for R&D Special District in Gwangju Area

광주지역 연구개발특구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이정록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김재철 (광주전남발전연구원)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knowledge based economy, the expansion of significance of high-tech and technical innovation, in recent, many of local government of Korea have concern on the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new growth power such as technopolis, science park, and innovative clusters for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strategy for R&D special district in Gwangju area. Gwangju area have many potentials in several dimensions; comfortable physical environment, new agglomeration of photonics and household electric industry, the existence of excellent research related manpower, the strong networking with universities, laboratories, and firms.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R&D special district in Gwangju area will be provide positive effects in the increase of competitiveness of stat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outhwestern area, and establishment of innovative clusters for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in order to promote and establish the R&D special district of Gwangju area,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concern with some improvemen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R&D related infrastructure, the strengthening of research activities of research institutes, the building of cluster of strategic industries of Gwangju area,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revitalization of R&D special district.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연구개발(R&D)특구를 지정 육성하기 위한 정책수립의 선행연구로서, 연구개발특구의 지정을 위한 광주지역의 여건과 잠재력 분석, 특구 지정의 당위성, 특구지정과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광주지역은 쾌적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광산업과 가전산업의 연구개발 활동이 특화되어 있고, 지역내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우수한 연구인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대덕-대구-광주를 연결하는 광역적 테크노벨트의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구지정과 육성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광주지역 연구개발특구의 지정과 육성을 통해 국가경쟁력의 제고, 국토의 균형발전, 서남권 지역경세의 활성화,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지역발전의 성장동력 확보 등이 가능하다. 연구개발특구의 지정과 육성을 위해서는 R&D 기반구축 및 혁신역량 강화, 창업 및 기업활동지원 프로그램 구축,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산업화 지원프로그램 실시, 핵심전략산업의 클러스터 구축, 연구개발특구지정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