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ersity and Typicality of Eup-Settlements Locations in Gyeongsang Provinc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Focusing on the tendencies of location changes since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다양성과 전형성 -고려말 이후 입지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 Lee, Ki-Bong (Kyujanggak Institute for Kor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ng, Keum-Su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University)
  • 이기봉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홍금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In this thesis we have examined the concrete forms and periodic tendency changes of eup-settlements, local administrative town, locations within 91 districts in 71 counties of Gyeongsang province. First of all, we have analyzed the overall conditions of eup-settlement locations in Joseon Dynasty under the criterion of topography, feng-shui, and scenery image of the mountains at the back. Then we looked into alterations of location forms mainly of the eup-settlement in which the exact time of migration can be identified and cities which have the evident dates of construction. To sum up,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concrete form of eup-settlement locations in Joseon Dynasty are usually built up in traditional ways, however, quite a few unconventional ones also existed. Secondly, the town castles constructed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period and before 1430's are hardly related to the traditional location format of Joseon Dynasty, yet the ones constructed after 1430's were mostly in the typical location format. Thirdly, the old eup-settlements established before 1425 are scarcely in the typical location form of Joseon dynasty, but the new eup-settlement established after 1425 were mostly in the typical location forms.

본 논문에서는 읍치 입지의 구체적인 형태와 시대적 변화 경향을 경상도 71개 군현의 91개 읍치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조선시대 읍치 입지의 구체적인 형태를 지형, 풍수, 뒷산 배경의 경관 이미지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전반적인 상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축조 연대가 분명한 읍성과 이동 시기가 확인되는 읍치를 중심으로 고려 말 이후 나타난 입지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읍치 입지의 구체적인 형태는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것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비전형적인 것도 상당수 존재하였다. 둘째, 고려 말과 1430년경까지 축조된 읍성은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입지 형태와 거의 상관이 없었던 반면에 1430년경부터는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입지 형태에 가까운 것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1425년 이전에 입지했거나 신설된 군현의 구 읍치는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입지 형태가 거의 없었던 반면에 1425년 이후에 새로 입지했거나 신설된 군현의 신음치는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입지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