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nglasses Design to Prevent Snow Blindness at High Altitude

설맹 방지를 위한 고소등반용 선글라스 디자인

  • 최병진 (대구보건대학 안경디자인과) ;
  • 장준영 (대구보건대학 안경디자인과)
  • Received : 2007.08.16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Recently, the population of people exploring High Mountain trekking or expedition is increasing as an increase in the backpackers. Many accidents occurring at High Mountain above 6,000 m are the results of snow blindness. The damage of cornea and/or retina is direct cause of snow blindness. The UV intensity increases on the hand, along with the altitude caused by decrease in the atmospheric pressure,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ons by bright snow at high mountain area. And it increases approximately 3 times and 4 times higher than the ground level at altitude of 4,000 m and 8,000 m, respectively. The use of sunglasses is more favorable than goggles for the protection of snow blindness at High Mountains. The eye frames that have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the plastic lenses which can protect UV 100% are recommended. The attachable shielding pads are needed to prevent the incident UV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from the gap between glasses frame and face. The sunglasses must have flexible and long temples to wind the ears adequately for the prevention of detachment during climbing and it is recommended that the metal frame to be coated with plastics to prevent the eye surroundings from frostbite.

산악 인구 증가와 더불어 해외원정 등반 인구도 크게 늘고 있다. 6천 미터 이상의 고소등반 시 발생하는 조난사고의 많은 부분이 설맹 때문이다. 설맹의 직접적 원인은 자외선에 의한 각막 및 망막의 손상이다. 고소에서의 자외선의 강도는 기압강하에 따른 고도효과와 설면에서 반사효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크게 높아진다. 해발 4천 미터 설산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지상에서보다 약 3배, 8천 미터에서는 약 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등반에서 설맹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글보다 선글라스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고소등반용 선글라스는 기계적 강도가 높은 프레임, 자외선을 100% 차단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사용이 요구된다. 얼굴과 선글라스 틈 사이로 들어오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탈부착식 차단막이 필요하다. 또 선글라스가 쉽게 탈착되지 않기 위하여 템플은 귀를 감을 수 있도록 길고 유연성이 좋아야 한다. 안구 주위의 동상을 방지하기 위해 메탈프레임을 합성수지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