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에 대한 에너지절약 투자의 에너지 원단위 개선효과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Energy Saving Investment on the Improvement of Energy Intensity in Korean Manufacturing

  • 박창수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
  • 유동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대학원)
  • 발행 : 2007.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전체 에너지절약 투자액과 에너지원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에너지절약 투자액이 에너지원단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패널자료(panel data)로서 제조업 9개 업종 가운데 분석기간 동안 시계열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타 제조업을 제외한 8개 업종이다. 이 가운데 에너지 다소비업종과 비다소비업종은 각각 4개씩이다. 분석기간은 에너지절약 설비 투자 자료가 이용 가능한 1982~2004년까지이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첫째로 에너지절약 투자는 에너지원단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에너지절약 절대량 측면에서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에너지절약 자금이 에너지원단위를 개선시키는 데 있어 탄력성 측면에서는 에너지 다소비 업종에 비해 에너지 비다소비 업종에서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로 에너지절약 관련 투자에 있어 에너지절약 투자 자금도 중요하지만, 자동화 투자도 에너지원단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투자의 효율성 개선 측면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분석에 의하면, 자동화 투자의 에너지원단위 개선효과가 탄력성 측면에서 에너지절약 투자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자규모면에서 보면, 에너지절약 투자규모는 자동화 투자 규모에 비해 현격히 낮다. 따라서 탄력성 측면에서는 에너지원단위가 에너지절약 투자액보다 자동화투자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투자규모를 고려한 단위 투자비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효과는 에너지절약 투자액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energy saving investment on the improvement of energy intensity. The data used in this paper are panel data, both time-series and cross-section data. In addition, eight manufacturing sectors has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massive energy consuming (four industries) and non-massive energy consuming (four industries) ones and the time period of analysis is from 1982 to 2004.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firstly, energy saving investmen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nergy intensity, however, its effect is not high in terms of absolute volume of energy consuming. Secondly, in improving energy intensity of energy saving investment, its elasticity IS higher in non-massive energy consuming sector compared it with massive energy consuming sector. Thirdly, automation investment is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nergy conservation. The elasticities of automation investment to energy intensity are larger than those of energy saving investment. In terms of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per investment unit cost, however, energy saving investment has larger effect than automation investmen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숭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