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 지질 학습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bductive Inference during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 발행 : 2007.12.30

초록

지구과학 탐구에서 귀추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모델로 한 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구체적인 지구과학 탐구의 장으로서 야외 지질 학습 현장에 대한 귀추적 탐구의 연구 사례는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귀추적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구성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을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와 그 과정에 사용된 사고 전략 및 교사의 교수법적 중재가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야외 지질 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암석의 구별,함께 나타나는 서로 다른 암석의 생성 과정 설명,변성암의 절리 형성 과정 설명,답사 지역 지형의 형성 과정 설명 등의 사례를 귀추적으로 추론하였다. 또한,학생들은 노두에서 관찰한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규칙을 찾아내는데 다양한 사고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과학자들이 수행하는것과 유사한 탐구 및 추론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교수법적 중재는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과정을 지원하였으며, 특정한 사고 전략을 유도하기도 했지만, 추론의 내용까지 보장해 주지는 못하였다. 학생들은 관찰한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한 규직을 추리할 때,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잘못된 배경 지식에 근거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올바른 가설을 수립하여 답사 지역의 지질을 해석하고,설득력 있는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을 추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능력을 길러 주는 것뿐만 아니라,학생들에게 정확한 배경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bductive inquiry in Earth science, some theoretical approaches that deploy abduction have been researched.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abductive inquiry in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as a vivid locale of Earth science inquiry should be researched. We developed a geological field trip based on the abductive learning model, and investigated students' abductive inference, thinking strategies used in those inferences, and the impact of a teacher's pedagogical intervention on students' abductive inferenc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during the field excursion, could accomplish abductive inference about rock identification, process of different rock generation, joints generation in metamorpa?ic rocks, and terrains at the field trip area. They also used various thinking strategies in finding appropriate rules to construe the facts observed at outcrops. This means that it is significant for the enhancement of abductive reasoning skills that students experience such inquiries as scientists do. In addition, a teacher's pedagogical interventions didn't ensure the content of students' inference while they helped students perform abductive reasoning and guided their use of specific thinking strategies. Students had found reasoning rules to explain the 01: served facts from their wrong prior knowledge. Therefore, during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teachers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proper background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order that students can reason rues for persuasive abductive inference, and construe the geological features of the field trip area by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hypothe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용주, 심해숙, 정진수, 박국태 (2003).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0-257
  2. 맹승호, 위수민 (2005). 경기도 사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9-29
  3. 박정웅, 전영호, 조후자, 이덕만 (1999). 눈을 돌리면 자연이 보인다: 한탄강으로 떠나는 지질답사. 서울: 시그마프레스
  4. 박정웅, 조원주, 전영호, 맹승호, 박창용, 박정희 (2002). 지질 답사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 서울: 지구과학교육연구회
  5. 양승영, 강필종 (1987). 야외지질학. 서울:형설출판사
  6. 오필석 (2006)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 추리 전략들.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46-558
  7. 오필석, 김찬종 (2005).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610-623
  8. 윤성효, 장정일, 고정선 (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11-623
  9. 전영호, 권홍진, 최변각, 박정웅, 김찬종 (2007).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학습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86-698 https://doi.org/10.5467/JKESS.2007.28.6.686
  10. 정용재, 송진웅 (2005), Pierce의 귀추법에 관한 이 론적 고참을 통한 과학교육적 함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03-722
  11. 정진수, 원희정, 권용주(2005).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 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95-602
  12.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2002). 야외 지질 학습징의 개발과 활용에 따론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13. Fischer, H. R. (2001)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rnaking. Foundatio n of Science, 6, 361-383
  14. Flach, P. A., &: Kakas, A. C. (2000). Abduction and Induction: essays on their relation and integration, Dordrechr: Boston: Kluwer Academic
  15. Folkorner, T. H. (1981). Comparison of three Methods of Teaching Geolog, in junior High Scheel,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29, 74-75 https://doi.org/10.5408/0022-1368-29.2.74
  16. Hanson, N. R. (1958).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Huntoon J. E., Bluth G .J. S., & Kennedy, W. A. (2001). Measuring the Effects of a Research-Based Field Experience on Undergraduares and K-12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0(3), 235-248
  18. Kim, C. (2002). Infernces Frequently Used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2), 188-193
  19. Kim, C. (2003). Prparing Teachers for Systems Science Mechodology. In Mayer, V. 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Columbus (255-265), OH: The Ohio State University
  20. Kim, J., &: Cunningbam, D. J. (2003). A Syllogism for Formulating Hypotheses Semiotica, 144, 303-317
  21. Kwon, Y., Jeong, J., Park, Y., &: Yang, I. (2003). Children's Generation Hypoheses on the Pendulum Motion: Roles of Abductive Reasoning and Prior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Eartn Sciens Society, 24(6), 524-532
  22.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Eelemont Wadsworth
  23. Magnani. L. (2001). Ebduction, Reason, and Science: Process of Discovery and Explanation.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
  24. Munn, B. J., Tracy, F. J. &: Jenks, P. J. (1995). A Collaborative Approach to Petrrology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381-384 https://doi.org/10.5408/0022-1368-43.4.381
  25. Oh, P. S. (2004). The Nature of Scientific Methods and its Implication for Enquiry Activities in Science Classrooms, East West Eduation, 21, 89-100
  26.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https://doi.org/10.5408/0022-1368-37.1.13
  27.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matics, 93(6), 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
  28. Selles-Martirez, J. (2004). Intem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What to test and how to do so. Seoul Conference for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IESO) Conference Proceedings, 136-142
  29. Thagard, P. (1992). Conceptual revolutions.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Tytler, R., & Peterson, S. (2003). Trac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 433-465 https://doi.org/10.1023/B:RISE.0000005250.0442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