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ical field excur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n n Geological Field Excursion leaching Model on Tando Coast and Hanyom Area at Shiwha Lake In Kyounggido)

  • 맹승호;위수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29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야외 지질 학습 사례를 분석 종합하여 통합 문제 제시 단계 -답사 개괄 단계 -현장 집중지도 단계 -탐색 단계 -1차 결론 발표 단계 -재탐색 단계 -조별 토론 단계 -정리 단계 -답사 요약 단계의 새로운 야외 지질 답사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수업 모형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질적 분석하여 야외 지질 학습을 실시하려는 지구과학 교사들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찾아보았다. 학생들은 통합 문제와 답사 개괄을 통해 지질 답사의 방향과 전체적인 주제를 미리 알고 야외 지질 답사에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지질학적 지식이 부족하고, 야외 지질 답사의 경험이 적은 까닭에 현장 집중 지도 내용이 답사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관찰 내용 요약 후 그 내용을 근거로 1차 결론을 발표하는 과정을 참신하게 생각하였으며 ,조별 토론을 통해 서로 다른 의견을 나누며 최종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지도 교사는 조별 모임을 통해 통합 문제 제시와 답사 개괄을 충분히 실시하여 서로 친숙한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충분한 현장 집중 지도 내용과 전달 방식을 준비하고, 사전 연구 과정에서 통합 문제를 해결하려는 관점에서 상세한 노두별 지도 지침을 마련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결론 도출 과정을 세밀히 파악하여 추측에 의한 결론이 나오지 않게 지도해야 하며, 토론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지질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을 사전에 숙지하고있어야 한다.

야외 지질 학습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bductive Inference during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 맹승호;박명숙;이정아;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18-831
    • /
    • 2007
  • 지구과학 탐구에서 귀추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모델로 한 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구체적인 지구과학 탐구의 장으로서 야외 지질 학습 현장에 대한 귀추적 탐구의 연구 사례는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귀추적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구성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을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와 그 과정에 사용된 사고 전략 및 교사의 교수법적 중재가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야외 지질 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암석의 구별,함께 나타나는 서로 다른 암석의 생성 과정 설명,변성암의 절리 형성 과정 설명,답사 지역 지형의 형성 과정 설명 등의 사례를 귀추적으로 추론하였다. 또한,학생들은 노두에서 관찰한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규칙을 찾아내는데 다양한 사고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과학자들이 수행하는것과 유사한 탐구 및 추론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교수법적 중재는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과정을 지원하였으며, 특정한 사고 전략을 유도하기도 했지만, 추론의 내용까지 보장해 주지는 못하였다. 학생들은 관찰한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한 규직을 추리할 때,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잘못된 배경 지식에 근거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올바른 가설을 수립하여 답사 지역의 지질을 해석하고,설득력 있는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을 추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능력을 길러 주는 것뿐만 아니라,학생들에게 정확한 배경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태국 연안역의 지진해일 충격' 야외답사 보고 (Report on the Field Excursion, 'Tsunami impact on the coastal zone of Thailand')

  • 장세원;이희일;박영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3호
    • /
    • pp.171-180
    • /
    • 2005
  • 2004년 수마트라 지진에 의해 야기된 지진해일의 충격과 관련하여 태국 피해연안에서 "Tsunami impact on the coastal zone of Thailand"라는 제목의 야외답사가 3일간 수행되었다. 태국 안다만해 연안의 지진해일 피해지역은 피해정도에 따라 심한 피해 연안역, 중간 피해 연안역, 약한 피해 연안역으로 구분된다. 하구의 수로들은 넓어지고 해빈 모래는 침식되어 인근해역이나 배후지역에 재퇴적되었다. 답사는 심한 피해 연안역인 팡아(Phang Nga)주와 약한 피해 연안역인 푸켓 섬 등 대표지역의 총 12개 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고에서는 지진해일 이전과 이후의 위성자료와 현장답사 사진을 중심으로 지질해일이 태국의 연안역에 미친 지질학적 영향을 소개한다.

포항지역 신생대 제3기 미고결 퇴적층의 암반분류 (Rock Mass Classification of Tertiary Unconsolidated Sedimentary Rocks In Pohang Area)

  • 김성욱;최은경;이융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99-1008
    • /
    • 2009
  • A series of sedimentary rocks which are formed in the Tertiary are distributed around Samcheok(Samcheok-Pukpyoung basin), Younghae(Younghae basin), Pohang(Pohang basin), Gyeongju(Yangnam basin), Ulsan(Ulsan basin), Jeju(Seogyuipo formation)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concerned with geological, geophysical,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unconsolidated rocks in the Pohang area. A consolidated rocks are classified as hard rock - soft rock - weathered rock - residual soil follows in degree of weathering. But unconsolidated rocks has soil properties as well as rock's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field excursion, boring, borehole-logging, rock testing, geophysical survey, laboratory test are soft rock range, but the durability of the rock until the residual soil from the weathered rock. We accomplished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of the unconsolidated roc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