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by the Seed Coat Colors of Three Species of Genus Pinus

소나무류 3수종의 종피색깔에 따른 종자 및 발아특성 비교

  • 최충호 (전북대학교 임학과 대학원) ;
  • 김선영 (전북대학교 임학과 대학원) ;
  • 서병수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 박우진 (전북대학교 임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crease germination by classifying seeds as seed coat colors of three species of genus Pinus. As result, the seeds classified as colors showed a difference. In seed length, Pinus densiflora (Pd) and P. thunbergii (Pt) had no difference while P. rigitaeda (Pr) had a difference between light yellow seeds and dark brown seeds (p<0.05). Only Pt was different in seed width. And in 1,000 seeds weight the three species showed a great difference whi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ed moisture contents. In percent germination, all of the three species had a difference, especially that of Pr was very wide. Pd and Pt were not different in mean germination time but Pr showed a difference between light yellow seeds and dark brown seeds.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류 3수종의 효율적인 종자정선으로 파종효과를 높이고자 종피 색깔에 따른 종자 및 발아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수종 및 종피 색깔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자 길이에 있어서 소나무와 해송은 연황색과 암갈색 종자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리기테다소나무의 경우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종자 너비는 해송 종자에서만 차이가 인정되었으나(p<0.05), 실중은 3수종 모두가 색깔간 심한 차이를 보였다(p<0.01). 반면, 수분함량은 3수종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종자 발아특성 중 발아율의 경우 3수종 모두 연황색과 암갈색 종자간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리기테다소나무는 그 차이가 매우 심하였다(p<0.01). 평균발아일수에 있어서는 소나무와 해송 종자는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리기테다소나무는 차이를 나타내어 암갈색 종자를 사용할 시 발아소요일수가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는 발아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리기테다소나무에서만 그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다. 종자특성과 발아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중은 모든 발아특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수분함량은 발아율에만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소나무류 3수종의 종자에 대해 종피 색깔에 따라 구분했을 때 종자 및 발아특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발아특성에서 대부분 암갈색 종자가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파종 전 정선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assou, S. and E.A. Kueneman. 1984. Screening methology for resistane to field weathering of soybean seed. Crop Sci. 24: 774-779 https://doi.org/10.2135/cropsci1984.0011183X002400040034x
  2. Goias, G. 1987. Effect of seed color on seed deterioration. Soybean Genetics Newletter 14: 71-72
  3. Hsieh, S.C. and T.M. Chang. 1964. Genic analysis in rice. IV. Genes for purple pericarp and other characters. Jpn. J. Breed. 14(3): 141-149 https://doi.org/10.1270/jsbbs1951.14.141
  4. Kinoshita, T. 1984. Gene analysis and linkage map. Biology of rice. Elsevier Amsterdam. pp.187-274
  5. Scott, S.J., R.A. Jones and W.A. Williams. 1984. Review of data analysis methods for seed germination. Crop Science 24: 1160-1162
  6. Starzinger, E.K. and H. West. 1982. An observation on the relationship of soybean seed coat colour to viability maintenance. Seed Sci.& Technol. 10: 301-305
  7. Stundstrom, F.J., R.B. Reader and R.L. Ewards. 1987. Effect of seed treatment and planting method on tabasco pepper.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12: 641-644
  8. 고대식, 허삼남, 서병수. 1994. 리기테다소나무 종자의 피복과 전 처리에 의한 발아 및 유묘생장 촉진. 한국임학회지 83(4): 505- 511
  9. 이욱, 김만조, 김영중, 현정오. 2002. 리기테다소나무 F1의 기내 소포자 배양. 한국임학회지 91(1): 25-33
  10. 김광호, 정영평. 1997. 벼 현미종피색의 유전. 한국육종학회지 29(1): 1-6
  11. 산림청. 2005. 임업통계연보. 제 45호. pp. 214-217
  12. 황영현. 1997. 종피색이 상이한 나물콩 품종의 저장기간별 발아 율차이. 한구콩연구회지 14(2): 43-47
  13. 홍용표, 권해연, 김용율. 2006. 국내 소나무 집단에 있어서 cpSSR 표지자 변이체의 분포양상. 한국임학회지 95(4): 435-442
  14. 권해연, 유근옥, 김인식, 최형순. 2006. 설악산 지역 소나무 해발 고별 9개 종자산지간 종자특성 및 유묘생장 변이. 한국육종 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