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전산망 성과와 효과 예측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KREN's Performance and Anticipated Effectiveness

  • 발행 : 2007.04.30

초록

한국의 교육전산(Korean Education Network)은 약 20년 간 국고를 지원하여 운영하였으며, 초-중고 대학 등 교육기관을 물리망으로 연결하였다. 지난 2001년도 상용망 위탁운영 체제로 전환되면서, 국내 외 교육, 연구 및 학술정보 등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제공하였다. 이는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기반으로 한 국가성장에 크게 이바지 하였으며, 교육 품질의 향상과 교육기관의 결속력을 다지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전산망에 대한 유효성(effectiveness)에 대한 인식이 낮다. 따라서 교육전산망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성과 분석이 필요하며, 향후 효과를 예측하여 정부의 지속적 투자를 이끌어 낼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통한 대학 발전 및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00개 기관 이상의 설문을 통해 교육전산망의 성과를 분석하고, 효과를 예측하였다. 만족도의 분석은 비용측면, 기여도 측면, 품질측면, 성과측면 등 4가지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회귀 분석을 통한 효과 예측은 교육기관의 재학생 규모, 전산망 사용경험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효과 예측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교육전산망에 대한 정책 개발, 교육기관의 활용의 극대화 등을 위한 필요한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KREN(Korean Education Network), supported by government fur 20 years, had been operated and connected to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elementary schools to universities. From 2001, This network has been operated by a commercial network consignment organization and started to offer superb infrastructures to access various educational information conveniently. This network contributes development of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omotes solidarity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Despite this achievement, KREN's effectiveness is not well recognized. Therefore, performance analysis study was carried out on KREN's achievemen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was to justify government's continuous support and also to find effective. This study was to justify government's continuous support and also to find effective ways of operations and maintenance fur the next step of KREN. Over 100 organizations were surveyed for performance analysis and we analyzed its results and anticipated effectiveness in this study. Cost, contribution, quality and performance were examined fur satisfaction analysis and each institution's number of students, network experienc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er regression analysis to figure out effectiveness of the network. This study's result provides much information for further research which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ies and maximizing KREN's effective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