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troduction of archival science and the renovation of records Management(since 1999)

기록학의 도입과 기록관리혁신(1999년 이후)

  •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hort history from 1999 to the present time, how the Korean record and archives management world had grown up, and what the development of the branch of records and archives studies resulted in. First of all, it is looked out upon the transition and feature of each initiative bodies of records management, containing the records producing body,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body, records and archives professional body, and civil society. As a result, this article points out the disequilibrium state of the records producing body and civil society, for all the growth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and records and archives professionals. During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law, the Korea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ad been made a rapid progress by some part of the leading group being to Korean Records and Archives Service and the society of professionals. But it is estimated only the malformed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model of elites, although we could achiev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Records and Archives Act. The condition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of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was distinguish from the state of former times, being driven up the renov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he main power of the renovation was sought our by overcome of the elite model with the development of archival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extending wide range. Particularly professionals to accept the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grew up in quantity and quality and then they let the pattern of the collaboration with archival institutions rake root in Korea. As The Road Map on the Renovation of National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was made, the government put into practice, so the management of records and archives in Korea could take a step of steady and continuous growth. But the development of the records producing bodies and civil society is staying at the low level as yet.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have the most important means that the professional instruction become to normalize and archivists who posted in public agencies after graduating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discharge their duties. And each public agencies have to speed up to set up the institutions for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some archivists so that overcome the condition of underdevelopment as fast as possible.

이 글에서는 1999년 기록관리법이 제정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기록관리가 어떻게 발전해왔고 기록학 분야의 성장은 어떠하였는지를 다루고 있다. 특히 기록관리와 관련된 주체를 기록생산기관, 기록관리기관, 기록 전문가 집단, 시민사회로 설정하고 각 주체들의 시기별 변화의 특징을 조망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다. 그 결과 기록관리기관과 전문가 집단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기록생산기관과 시민사회 영역이 아직도 불균형 발전하고 있는 현상을 지적하였다. 기록관리법 제정 시기의 한국의 기록관리는 국가기록원과 전문가 집단의 일부 선도적 인물들에 의해 기록관리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는 전형적인 엘리트 모델에 의한 성장 시기로, 결과적으로 기록관리법의 제정이라는 역사적 성과를 이루어 냈음에도 불구하고, 각 주체의 기형적 발전 양상이 두드러졌다고 평가된다. 참여정부 시기의 한국의 기록관리는 기록관리 혁신이 강력하게 추진됨으로써 이전 시기와는 구별되는 발전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를 추동한 힘은 기록관리기관과 기록 전문가 집단의 성장이 보다 보편화 되어 엘리트 모델을 일정 부분 극복할 수 있었던 데서 찾아진다. 특히 대학원 교육을 통해 성장한 전문가 집단이 양질적으로 성장하여 기록관리기관과 전문가 집단이 협력하는 패턴이 정착되기 시작하였다. 국가기록관리 혁신 로드맵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실천됨으로써 한국의 기록관리는 점차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의 단계로 들어설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기록생산기관과 시민사회 영역에서의 기록관리의 발전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전문 교육의 정상화와 전문적 교육을 통해 배출되고 각 기관에 배치된 기록연구사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각급 기관에 기록관리기관을 서둘러 설치하고 기록연구사를 조기 배치하여 기록생산기관의 미발달 상황을 조속히 극복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Keywords

Cited by

  1. 폐지기관 기록물관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vol.51, pp.None, 2007, https://doi.org/10.20923/kjas.2017.51.005
  2. 육군 기록관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기록경영프로세스와 조직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vol.51, pp.None, 2007, https://doi.org/10.20923/kjas.2017.51.209
  3.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07,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4. 차세대 기록관리를 위한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vol.55,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5.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