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of Teacher Librarians to Instruction in Korea

정보전문가의 교수활동지원을 위한 참고정보서비스 실태 분석 - 사서교사의 참고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

  • 정종기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participation to school library human resources, to comp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ith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participation, and to discern what the important impacts on the differences of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participation are. The 254 questionaries used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06 to December 31, 2006 to the 327 school library employees. In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Participation of school library human resources and independent variables: gender, the level of school library, length of service, employment style. Tips for the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participation of school library human resources were provided based on inadequacies and other finding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본 연구는 정보전문가의 교수활동 지원을 위한 참고정보서비스 실태를 사서교사의 참고정보서비스 참여를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방법은 전국사서교사협의회 회원교(212개)와 전국에서 계약직 사서가 가장 많이 배치된 경기도의 2개 도시 학교도서관(115개) 사서전수(327명)를 대상으로 2006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1일간 3차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총 254개(회수율 77.7%)의 질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사서교사와 사서들은 독립변인(성별, 학교급. 근무경력, 고용구분)에 따라 교수활동지원을 위한 참고정보서비스 참여도에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과 직무연수 등을 통해 교수활동 지원을 위한 참고정보서비스 교육을 강화할 것과 교수활동에 사서교사와 사서가 참여하여 참고정보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도서관법 제 7장 38조 (업무)학교도서관은 학생 및 교원 등의 교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업무를 수행한다. 1.학교교육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및 이용서비스 제공 2. 학교소장 교육 자료의 통합관리 및 이용 제공 3. 시청각자료 및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제작 및 이용 제공 4. 정보관리시스템과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공유체제의 구축 및 이용 제공 5. 도서관 이용의 지도 및 독서교육, 협동수업 등을 통한 정보 활용의 교육 6. 그 밖에 학교도서관으로서 해야 할 기능수행에 필요한 업무
  2. Hackbarth, S. 1997. Educational Technology Handbook ; a Comprehensive Guide. Englelan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 p.25
  3. R. E. Bopp, L. C. Smith, 참고정보봉사론. 박온자 역(서울 : 아세아문화사 1996). pp.226-227
  4. AASL/AECT, Information Power: Guidline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8), p.39
  5. 경기도교육청, 학교도서관 꾸미기에서 활용까지(장학자료 2003-6호). pp.175-180
  6. 교육인적자원부정책자료. 학교도서관활성화종합방안. 2002년 8월 발표
  7. 한국교육개발원홈페이지, [인용 2006.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