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 지역 아동 및 청소년의 지역감정 평가

Children and Adolescents' Evaluation of Regional Antagonism in Youngnam and Honam Region

  • 공인숙 (순천대학교 소비자.가족아동) ;
  •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Kong, In-Sook (Dept. of Consumer & Family-Child Studies, Sunchon National Univ.) ;
  • Min, Ha-Yeoung (Dept. of Child Studies, Catholic Univ. of Deagu)
  • 발행 : 2007.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regional antagon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Youngnam and Honam region. There were 684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from three ages in the Youngnam and Honam regions: 12.8 years(6th grade, n=208), 14.8 years(8th grade, n=211), and 16.9 years(10th grade, n=265). Of the 684 subject, 357(53.3%) were boys and 327(47.8%) were girls.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subjects' self-reported social distance, stereotype, and prejud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and the $Scheff\'{e}$ tes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the out-group stereotype was greater than the median, so the in-group preference was greater than the out-group exclusion. The in-group stereotype was different based on the age and the sex. The 6th and 8th graders and the boys were higher than 10th and the girls. The prejudice was different based on the lesion. The social distance was different based on the age and the reg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2003). 반편견 이야기 나누기가 유아의 편견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연차학술대회, 290-303
  2. 김범준(2002). 사회적 범주화가 지역감정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1-18
  3. 김진국(1988). 지역감정의 실상과 그 해소 방안.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움 심리학에서 본 지역감정, 79-101
  4. 김혜숙(1988). 지역간 고정관념과 편견의 실상-세대간 전이가 존재하는가?-.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움 심리학에서 본 지역감정, 37-62
  5. 김혜숙(1993). 지역고정관념이 귀인판단과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7(1), 53-70
  6. 김홍석(1989). 지역감정의 사회학적 이해.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군석 . 한덕웅(2003). 영 . 호남인의 사회구조 요인 지각과 사회정체성이 상대박탈과 집합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2), 59-72
  8. 박아청(2006). 성격발달심리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9. 박해미 . 정종원(2000). 반편견 교육과정의 적용: 이혼개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0(4), 127-147
  10. 서영숙 . 황은숙(2002). 한부모 가정에 대한 반편견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1), 205-227
  11. 소순창(2001). 한국 지방선거에서의 지역주의와 정당투표: 긍정적 투표와 부정적 투표. 2001년도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7-136
  12. 송관재 . 이훈구(1991). 특질유사성 측정 방법이 특질의 지각된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6(1), 32-46
  13. 안신호(1988). 집단 고정관념 형성에 있어서의 가정과 지성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움 심리학에서 본 지역감정, 3-36
  14. 온만금(2003). 한국정당체계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이론(1948-2000): 지역주의, 선거법, 그리고 정당체계. 한국사회학, 37(3), 135-157
  15. 유수옥(2001). 반편견 동화에 기초한 문학적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역할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3), 217-236
  16. 이소영 . 정철희(2003). 전통적 가치와 지역감정. 한국사회학, 37(5), 31-54
  17. 조경근(1987). 정치사회화의 시각에서 본 영 . 호남 간의 지역감정의 실재와 악화 및 그 해소. 한국정치학회 제 7회 합동학술대회논문집, 107-126
  18. 차종천(1987). 지역주의가 한국사회 계층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민의 출신지역별 지위획득과 사회이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1, 69-90
  19. 최연자 . 이영석(2001). 사연있는 인형을 활용한 반편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2(3), 195-209
  20. 최윤희 . 이소현(2004). 장애유아 통합을 위한 반편견 교육의 동향 및 과제: 최근 10년간 국내의 연구고찰. 정서 . 행동장애연구, 20(2), 1-26
  21. 한상진(1998). 지역주의와 계급정체감이 투표성향에 미치는 영향-울산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98 후기사회학 발표문요약집, 87-96
  22. 홍원표(2001). 한국의 지역주의 문제와 정치 공동체 이념의 구상: 배제와 욕망의 정치에서 균형의 정치로. 대한정치학회보, 9(1), 285-308
  23. Aboud, F. E.(1988). Children and prejudice. Oxford: Blackwell
  24. Aboud, F. E. & Amato, M.(2001). Developmantal and socialization influences on intergroup bias. In R Brown, & S. Gaertner(Ed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Intergroup processes(65-85). Oxford: Blackwell
  25. Araujo, L. & Strasser, J.(2003). Confronting prejudic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Kappa Delta Pi Record, 39(4), 178-182 https://doi.org/10.1080/00228958.2003.10516402
  26. Coie, J. D. & Koepple, G. K.(1990). Adapting intervention to the problems of aggressive and disruptive rejected children. In S. Asher & J.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N. 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Devine, P. G.(1989). Automatic and controlled processes in prejudice: the role of stereotypes and personal beliefs. In A. R. Pratkanis, S. J. Breckler, & A. G. Greenwald (Eds.), Attitudes structure and function(181-212).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Dovidio, J. F. & Gaertner, S. L.(1993). Stereotypes and evaluative intergroup bias. In D. M. Mackie & D. L. Hamilton(Eds.), Affect, cognition, and stereotyping: Interactive processes in group perception(167-193). C. A: Academic Press
  29. Enesco, I., Navarro, A., Paradela, I., & Guerrero, S.(2005). Stereotypes and beliefs about different ethnic groups in Spain: a study with Spanish and Latin American children living in Madrid.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6, 638-659 https://doi.org/10.1016/j.appdev.2005.08.009
  30. Jones, E. & Derman-Sparks, L.(1992). Meeting the challenge of diversity. Young Children, 72, 12-18
  31. Killen, M, Lee-Kim, J., McGlothlin, H. & Stangor, C.(2002). How Children and Adolescents Evaluate Gender and Racial Exclus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7(4, Serial No. 271)
  32. Mullen, B., Dovido, J. F. & Copper, C. J.(1992). In-groupout-group differences in social proje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8(5), 422-440 https://doi.org/10.1016/0022-1031(92)90040-Q
  33. Turiel, E.(2002). The culture of mor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