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mantic Classification Model for Educational Resource Repositories

교육용 자원 저장소를 위한 의미적 분류 모델

  • 최명회 (군산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정동원 (군산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Published : 2007.02.15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classification model for systematical management of resources in educational repositories. A classification scheme should be provided to systematically store and manage, precisely retrieve, and maximize the usability of the resource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result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and classification model for educational repository resources. It causes several issues such as inefficient management of educational resources, incorrect retrieval, and low usability. However,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ducational resour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the previous fields. Therefore, a novel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and classification model for the resources in educational repositories is required. To achieve the goal for efficient and easy use of the educational resources, we should manage consistently the resourc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cheme accepting several views. This paper proposes a classification model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educational resources. In other words, the proposed classification model can manages dynamically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resources in educational repositories according to various views.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first define a proper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implementation resourc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in relevant scientific technology fields. Especially, we define a novel classification model to dynamically manage the defined classification scheme. The proposed classification scheme and classification model enable more precis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implementation resources and also increase the ease of usability.

이 논문에서는 교육용 저장소 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생성되는 자원들에 대한 체계적인 저장 및 관리, 정확한 검색, 그리고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분류 체계가 요구된다. 그러나 교육용 저장소 자원을 위한 분류 체계나 분류 모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이는 교육 자원의 비효율적 관리, 부정확한 검색 및 낮은 활용성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상품 정보와 관련된 분야에서는 다양한 분류 체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교육 자원 정보와 기존연구 분야의 정보는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교육용 저장소 내 자원 관리를 위한 분류 체계 및 분류 모델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교육 자원들에 대한 효율적이고 편리한 활용을 위해서는 여러 관점을 반영하는 분류 체계에 따라 자원들을 일관성 있게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 자원의 체계적인 관리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한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즉, 교육용 저장소의 자원들에 대한 분류 체계를 다양한 관점에 따라 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관련된 과학기술분야 분류 체계들을 바탕으로 구현 자원들에 적합한 분류 체계를 정의한다. 특히 정의된 분류 체계를 동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분류 모델을 정의한다. 제안된 분류 체계 및 분류 모델은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구현 자원에 대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활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Keywords

References

  1.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ited Nations Standard Products and Service Code,' White Paper, http://www.unspsc.org, 2001
  2. Harmonized System Committee, 'Harmonized System Convention,' http://www.wcoomd.org/ie/En/Topics_Issues/HarmonizedSystem/harmonizedsystem.htm, 2004
  3.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Better Supply Management with UNSPSC,' White Paper, http://www.unspsc.org, 2006
  4. 한국학술진흥재단, '과학기술분류표', http://www.krf.re.kr/, 2006
  5. 한국과학재단, '기술분류표', http://www.kosef.re.kr/main/main.html, 2006
  6. 서태설, '과학기술정보 분류 현황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6
  7. 대한화학회, 화학정보(한국과학재단 학문분류표), http://newkcsnet.kcsnet.or.kr/, 2006
  8. 김동규, 이상구, 전종훈, 최동훈, '전자 카탈로그를 위한 의미적 분류 모형', 정보과학회논문지: 데이타베이스, 제 33권 제 1호, pp. 102-116, 2006
  9. François Yergeau, John Cowan, Tim Bray, Jean Paoli, C. M. Sperberg‐McQueen, Eve Maler,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1, W3C Recommendation,' W3C, Feb. 2004
  10. Dave Beckett, 'RDF/XML Syntax Specification (Revised), W3C Recommendation,' W3C, 2004
  11. The DARPA Agent Markup Language, 'About DAML,' http://www.daml.org/, 2003
  12. Deborah L. McGuinness, Frank van Harmelen, 'OWL Web Ontology Language Overview, W3C Recommendation,' W3C, 2004
  13. Michael K. Smith, Chris Welty, Deborah L. McGuinness, 'OWL Web Ontology Language Guide, W3C Recommendation,' W3C, 2004
  14. ISO/IEC JTC 1/SC 32, 'ISO/IEC 11179: Information technology — Metadata Registries (MDR) - Part 1-6,' ISO/IEC,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