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Program on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양성평등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직업관련 양성평등의식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07.02.07
  • Accepted : 2007.04.09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program on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36 students each. Korea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and Career Identity Scale of My Vocational Situation(MVS) were used to measure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career ident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higher career ident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career guidance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Keywords

References

  1. 강재태.배종호.강대구, 진로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003
  2. 곽대섭,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정체감형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 교육인적자원부, 중등학교용 양성평등한 진로지도를 위한 지침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3
  4.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5. 김양희.이수연.김혜영, 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 검사 개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002
  6. 김은미, 여중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 김정이, 양성평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과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중학생용 진로교육 프로그램, 대구진로교육, 5, pp.85-145, 2002
  9. 박수은,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남녀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0. 박은혜.김희진.조문현.최혜영, 유아기 부모의 양성평등의식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25(2), pp.165-198, 2005.
  11. 박찬수, 진로편지쓰기를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성숙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2. 부산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담임교사를 위한 중학교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2004
  13. 서정임, 영화치료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이회경,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정체감과 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5. 이희영, 진로성숙과 상담, 서울: 학지사, 2003
  16. 정종보, 역할놀이 수업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7. 진미석.손유미.정윤경.이지연, 중학생의 진로교육실태 및 요구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률개발원, 1998
  18. 최미재, 양성평등 진로교육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성역할 의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9. 허명희, 양성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0. Ellis, A.,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NJ: Citadel, 1962
  21.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1963
  22.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2nd ed).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23. Holland, J. L., Daiger, D. C., & Power, P.,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pp.1191-1200, 1980 https://doi.org/10.1037/h0077731
  24. Mitchell, L, K., & Krumboltz, J. D., Krumboltz's learning theory of career choice and counseling. In D. Brown and L Brooks., Carer choice and development(3rd ed. pp.233-280), San Francisco: Jossey- Bass, 1996
  25. Parsons, F, Choosing a vocation, Boston: Houghton Mifflin, 1909
  26. Tolbert, E. L.,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