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고 BizCool 운영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operating BizCool in Industrial High School

  • 신윤철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 은태욱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 이용진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 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투고 : 2007.10.30
  • 심사 : 2007.12.12
  • 발행 : 2007.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비즈쿨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즈쿨 시범학교가 운영되는 학교의 교사와 학생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비즈쿨 운영에 대한 담당 교사의 인식으로는 첫째, 비즈쿨 프로그램 중 가장 효과적인 프로그램은 창업 동아리 활동이며, 비즈쿨 운영의 전개 방향으로는 창업 마인드 함양을 우선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비즈쿨 프로그램 운영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의 업무 부담을 감소하기 위해 운영 전담 기능직 직원을 채용을 원하며, 기업과의 연계 및 창업 동아리의 표준 운영 모델을 개발 보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에게 비즈쿨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체계적 창업교육과 창업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 자립 의지와 구체적인 창업기회를 갖도록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즈쿨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는 첫째, 교육 내용 및 수준, 교재, 기업가 정신과 창업 마인드 함양, 창업에 관한 지식습득 등에서 보통 정도로 인식 하였으며, 체계적인 창업 교육실시에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비즈쿨 교육 및 창업 마인드 형성과 자신감을 기르는데 프로그램이 도움을 주었다. 셋째, 창업 동아리 활동이 학업 성적과 바른 습관 형성 그리고 친구를 사귀는 데 공헌도는 크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operating BizCool in technical high school. These results were obtained by questioning teachers and students of high school which operated BizCool. Above of all, On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BizCool. First, the most effective programs in BizCool are the entrepreneurial club activities, and these activites fostering an entrepreneurial mind as the primary benefits of operating BizCool. Second, to activate BizCool they want to employ staff whose responsibility is to organize BizCool because of the demand and pressure involved, and Bizcool entrepreneurial club should be connected with related enterprises.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standard managing models is necessary. Third, Students also have to be able to learn essential knowledge about management, increasing their will to rely on themselves, and getting actual chances to conduct business. Finally, On the Students' recognition about BizCool. First, The contents and level of Bizcool, the availability of BizCool material, the fostering and learning of entrepreneurship are relatively easy and they show much interest in systematic entrepreneurial education. Second, the data show that BizCool is helpful for students to create an entrepreneurial mind and increase confidence about conducting business. Third, about school activities. Entrepreneurial club activities did not help to improve students' grades, to develop good habits or to make frie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순(2002). 실업계고등학교에서의 창업 교육 체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원
  2. 경기도교육청(2004). 실업계 . 기타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해설서
  3. 경기도교육청(2006). 경기도 실업계 고등학교 작업교육 핵심요원 워크숍 자료
  4. 경기도교육청(2006). 경기 작업교육 발전방안(2006-2011)
  5. 경기도교육청(2003). 비즈쿨 지도자료
  6. 교육인적자원부(2006). 작업교육체제 혁신 프로그램 발표회 자료
  7.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년도 작업교육체제 프로그램 발표회
  8. 김선원(2004). 농업계 고등학교의 활성화방안.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9. 김진수(2002). 공업교육. 동일출판사
  10. 김진수(2005). 공업교육 연구법과 SPSS. 웅보출판사
  11. 남춘애(2004). 청소년창업(bizcool)교육 수요자특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2. 대한공업교육학회(2005). 경기도 산업구조변화에 대비한 실업교육 대응전략 및 운영 방안 연구
  13. 박윤희(2004). 실업계고등학교 창업 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 작업교육연구. 23(3),pp.83-110
  14. 박정연(2004). 실업계 고등학생에 대한 창업 교육의 효과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5. 박재병(2003). 실업계 고등학교 비즈쿨(창업 교육)의 내용과 학습효과에 관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부산: 영남대학교 대학원
  16. 오승균 . 김진수(2005). 3Type 교육과정에 기반한 공업교육 운영 방향 모색. 공업교육연구, 1(1),pp.139-148
  17. 우상호 . 임호권 . 오승균 . 김진수(2005).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들이 인식 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 능력 수준. 직업교육연구, 24(3),pp.69-98
  18. 양영디지털고등학교(2004). 학생관계관리기법을 이용한 창업 마케팅 교육 방법의 모색, 시범학교 보고서
  19. 이성종 . 서종상(2006). 고등학교 창업 일반,삼양미디어
  20. 이창호 . 이선주 . 이은희 . 윤미경(2004). 비즈쿨 일반,대한교과서주식회사
  21. 장재남(2003). 저소득층 젊은이를 위한 미국의 창업 교육. B&F 2003년11월호
  22. 중소기업청(2003). 비즈쿨 리더십
  23. 중소기업청(2003). 비즈쿨 리더십 교사매뉴얼
  24. 중소기업특별위원회(2001). '청소년창업 교육프로그램설명회', pp.51-53
  25. 지근중(2002). 상업계 고등학교에서 창업 교육의 작용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6. 최광현(1999). 우라나라 창업 경영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영남이공대학 논문집 제28집
  27. 한국교육개발원 (2006). 교육통계 연보. On-line. Available: http://std.kedi.re.kr/
  28. 한서영(2004). 실업계 고등학교 창업 교육 운영실태 몇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9. Katherine Weber and Rodney Custer (2005). Gender-based Preferences toward Technology Education Content,Activities,and Insructional Methods.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16(2),Spring 2005
  30. William H. Kemp and Anthoney E. Schwaller(1988),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chnology Education Council on Technology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