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the Waste Gypsum

폐석고를 시멘트 대체재로 활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남욱 (청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송인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래선 (한국도로공사) ;
  • 배주성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6.05.26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As amount of waste matter rapidly increases with fast growth of cities and industry, how to dispose them has arisen as an important problem. Current policy of the government on disposal of waste is repressing generation of waste itself and in case of already generated waste, resource cycle waste management system that recycles waste after proper environmental process is getting established. Therefore recycling of waste and industrial by-products is rising hugely. One of largely wasted matters is waste gypsum, which was categorized as designated waste but changed to general since 1994. Due to disposal cost and lack of impurities removal technology, recycling of it was quite low. However, as impurities removal technology using semi-dried desulfurization process is developed lately, study on recycling of waste gypsum is going on lively. This study examines possibility of utilizing waste gypsum as alternative for concrete cement and analyzed attributes of waste gypsum before and after ball mill process to find out proper alternation ratio, and conducted strength and property tests on concrete subject whose percentage of cement use is substituted with 0, 5.0, 7.5, 10.0 and 12.5% of waste gypsum.

도시와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폐기물의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어 그 처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폐기물 처리에 대한 국내의 정책방향은 폐기물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고, 기 발생된 폐기물은 적절한 환경적 처리를 거쳐 재활용하는 자원순환형 폐기물 관리체계로 정착되어 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폐기물 및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이 크게 부상되고 있다. 대량으로 발생되는 폐기물의 하나인 폐석고는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왔으나, 1994년 이후에는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었으며, 처리비용 및 불순물 제거기술 부족 등으로 재활용이 극히 미비하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반건식 탈황공정 등을 이용한 불순물 제거기술이 개발되어 폐석고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석고를 콘크리트용 시멘트 대체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규명하고 적정대체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볼밀처리 전 후의 폐석고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시멘트 사용량의 0, 5.0, 7.5, 10.0 및 12.5%를 폐석고로 대체한 콘크리트 시험체에 대한 강도 및 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배국진, "부산석고의 발생 및 재활용 동향", 산업기술정보원, 1998.
  2. 오영인, 김광일, 신은철, "폐석고를 활용한 성토매립지반의 지반공학적 특성 및 환경적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 21권 1-C, 2001, pp 19-26.
  3. 주재우, 박종범, 박현수, "토목재료로서 폐석고 이용가능성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1.
  4. 안양진, 소양섭, "폐인산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특성" 한국폐기물학회, 2004.
  5. 안양진, 문경주, 송훈, 소양섭, "폐인산석고를 증기양생용 혼화재로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 한국폐기물학회, 2004.
  6. 김기형, 최재진, 최연왕, "플라이 애시 및 석고를 활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성능개선", 한국콘크리트 학회, 1999.
  7. 이의학, 전준영, 김진욱, 유창진, "석고형태 및 첨가량이 시멘트 경화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성 검토", 한국양회공업협회 시멘트화학.
  8. Manjit Singh, Mridul Garg, "Study on anhydrite plaster from waste phosphogypsum for use in polymerised flooring composi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9, 2005, pp. 25-29.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04.04.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