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하우징 개념을 적용한 도시근교 주거단지에 대한 도시근교 거주자 선호

Preference of Suburban Residents on the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Applied the Concept of Cohousing

  • 한민정 (창원전문대학 실내건축디자인) ;
  • 이상호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7.12.25

초록

Nowadays, with the perception on residenti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terests in suburban area as a housing area based on the good natural environment has risen, as this area can solve the various social issues and pollutions caused by the overcrowding in the urban area. In the North Western Europe where people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ty, cohousing which designate the modem neighborhood relationships pursuing the common interest has developed, by emphasizing the community activity based on the mutual cooperation while accepting the lives in suburban area. Thu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cohousing' as an appropriate alternative of new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and preference of residents of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applied the concept of cohousing.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on suburban area residents were carried out and general results were provided. Through the survey on the residents in suburban areas, request on new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and preferences to cohousing were analyzed. Residents responded that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should be plann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considerations on communities are the necessity. They also responded that residential development developed the low-rise housing with low population density. It shows that there will be broad potential consumers for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applied cohousing technique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안건혁 . 김영환(1994), 2000년대를 대비한 도시정책의 방 향, 국토개발연구원
  2. 서정렬 . 이우종(1997), 도시근교지역의 주거단지 개발방향 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2권 제4호
  3. 신만석 . 박인석(1998), 수도권 전원주택단지의 개발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4. 박인석 . 신만석 . 황인환(1999), 전원주택단지 개발동향 및 개선 쟁점 도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5권 제2호
  5. 이경희(2000), 공동주택 개발에 있어서 서구의 협동주택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8권 제2호
  6. 신용재(2001), Cohousing에서 추구하는 프라이버시와 커뮤 니티의 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2권 제1호
  7. 최정신(2003), 덴마크 자치관리모텔(Self-work Model) 노 인용 코하우정의 디자인특성,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제4호
  8. 엄도업 외 3인, 국내 단지형 전원주택의 문제점 및 개선방 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p. 177
  9. 한민정 . 최정신 . 이상호(2005), 덴마크와 스웨덴 코하우 정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6권 제5호
  10. 한민정 . 이상호(2005), 코하우정에 적용된 커뮤니티 개념 의 계획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6권 제6호
  11. 김기택(1995), 전원주택단지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 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정렬(1997), 수도권 도시근교주택개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선규(1997), 수도권지역 단지형 전원주택 개발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류현아(2001), 교외형 주거단지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고 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유수훈(2003),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공동주택의 영향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한주희 (2005),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정 계획 안,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홍서정(2005), 한국 농촌형 코하우정의 계획,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주거학 연구회(2000), 새로 쓰는 주거문화, 교문사
  19. 주거학 연구회(2000), 더불어 사는 이웃 세계의 코하우정, 교문사
  20. 국토개발연구원(1990), 도시근교 산지 . 구릉지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21. 대한주택공사(1996), 균형적 지역개발을 위한 도농통합형 신 주거단지 개발사업 방안
  22. 박광재(2000), 아파트 공동체 실현을 위한 방안 연구, 대한 주택공사
  23. 박재길 . 이동우(2002). 도 . 농통합형 정주기반 형성과 농 촌의 계획적 정비, 국토연구원
  24. 대한주택공사(2003), 도농통합형 주거단지 계획방향 설정 에 관한 연구
  25. 건설교통부 국토계획연구원(2005),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안(2005-2020)
  26. Dick Urban Vestbro (2000), From Collective housing to Cohousing,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Vol. 17 No. 2, Summer
  27. Han, Min Jeong, Kim, Jin Woo, Lee, Sang Ho (2004),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ite Plann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nse of Community in Cohousing, AIDIA Journal, Vol. 4
  28. Han, Min Jeong, Choi, Jung Shin, Lee, Sang Ho (2005)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Factors Applied to Cohousing in USA, AIDlA Journal, Vol. 5
  29. Kathryn McCamant & Charles Durrett (1994), Cohousing, Ten Speed Press
  30. 통계청(2005), 전국가구 월평균 가계수지, www.nso.go.kr
  31. 통계청(2005), 인구주택 총조사 표본조사 원시자료(통근, 통학편), www.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