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s and Actual Condition of Apartment Unit Remodeling - By In-depth Interviews on Residents and Specialists of Interior Design Companies -

아파트 단위주거의 리모델링 요소와 현황 - 인테리어디자인업체 실무자와 거주자 심층면접을 통하여 -

  • 최윤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소비자학과) ;
  • 심현숙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주거환경학) ;
  • 정연홍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주거환경학)
  • Published : 2007.12.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major elements and actual condition of apartment unit remodeling by in-depth interviews on residents and specialists. The interviews had been conducted to interior designers who have a wide experience of apartment remodeling and residents who live in recently remodeled apartment unit. In-depth interview is a kind of qualitative method in which attention to reply of responses with open-access between interviewer and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remodeling elements were generally changing of lighting fixtures and finishing materials in the all spaces, integration of balcony into children's room, installation of furniture in kitchen and entrance, changing storage furnitures and equipments in bathroom. Artificial lighting method were selected generally whole lighting. Finishing materials were used ordinary (non environmentally-friendly) wallpaper and adhesion and tempered floor. There were unsatisfied factors after remodeling, these were dissatisfaction of design, construction defects, and stink of reflecting 'sick house'. Also they responded that they should be considering to use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 at next remodeling.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주(2002), 고층아파트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의 의식 및 요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9), 131-138
  2. 김석경 . 정유선 . 윤정숙(2001). 생애주기 개념을 도입한 공 동주택의 개조 서비스 계획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7), 3-12
  3. 김선중 . 김은덕 . 최영순 . 서종녀(2001), 중소형 분양 아파트 거주자의 개조시 거주기간별 주택개조 내용, 한국주거학회지, 12(2), 109-122
  4. 김재홍 . 김한수(2001), 주거공간 개조실태와 주민의식, 한국주거학회지, 12(2), 98-107
  5. 오인욱 . 조명은(2003), 거주자들의 참여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공동주택 입주시점의 개조행위를 통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9호, 62-72
  6. 정지영 (2007), 부산광역시 공동주택단지의 주거공간개조에 관한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권 1호, 223-230
  7. 차배근(1988).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33-37
  8. 최열 . 임하경 (2007), 신규 아파트 주택개조 현황 및 친환 경 소재 사용시 잠재적 비용부담에 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권 1호, 213-221
  9. 최윤정(2004), 아파트 전면발코니의 실내환경 조절효과 및 공간기능 -전면발코니를 실내공간과 통합개조한 경우와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2(5), 93-106
  10. 홍선경 . 윤복자(1995), 아파트 거주자의 주택개조특성 분석모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1(11), 3-15
  11. '특집:아파트 리모델링이 뜬다' 주택저널, 2007, 06, 120-139
  12. www.moct.go.kr. 주택법 시행규칙 제4조 2항 (일부개정 2007. 03. 16)
  13. www.nso.go.kr(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 고시 제2000-2호(2000. 1. 7 고시, 2000. 3. 1.시행)
  14. kosis.nso.go.kr(통계정보시스템), 소득10분위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근로자가구), 2007
  15. huri.jugong.co.kr (주택도시연구원), 2007 주택도시통계편람
  16. www.standard.go.kr/(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 산업자원부 기 술표준원) 한국산업규격(KS)
  17. ecolabel.koeco.or.kr/(친환경상품진흥원). 환경마크제도
  18. www.kaca.or.kr/(한국공기청정협회). 친환경건축자재품질인증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