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중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장윤정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보건교육학과) ;
  • 나백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건엽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배석환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철웅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은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Jang, Yun-Jeong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
  • Na, Bak-J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m, Keon-Yeop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Bae, Seok-Hw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m, Chul-W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m, Eun-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Lee, Moo-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발행 : 2007.10.30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handwashing training of the students and help them to form a healthy habit. Methods: Data was collected by a standard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Sep. 20 to Oct. 6 2006 with a total of 710 students in 1, 2, 3 grades at 6 middle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490 students from four schools situated in an urban center, 220 from 2 in a suburban district).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employing man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chi-square($x^2$) test, t-test, ANOVA analysis with post hoc test, correlation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tal number of handwashing tim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6.69 per day. 66.1% of the students used soap and most of the students washed hands for $6{\sim}10$ seconds(44.7%). Second, in the knowledge of handwashing, "both of the parents"(p<0.01), "catholic", "city"(p<0.05) were the highest and the practice of handwashing was active with "city", "high economic level"(p<0.05) and "both of the parents"(p<0.01). In the experience of teaching handwashing, "Yes" was 24.3%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handwashing knowledge(p<0.05), attitude and practice(p<0.01). Third, in the correlation of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y between handwashing attitude and knowledge(p<0.01)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knowledge(.534). The practice of handwashing has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shows positive co-relation in knowledge(.335) and attitude(0525). Fourth, based on the result for regression analysis with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s dependent variables, handwashing knowled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ith sex, type of school(p<0.05) and residential area(p<0.01). There were also statistical significancy between handwashing attitude and knowledge(p<0.01) and between handwashing practice and religion, knowledge(p<0.05) and economic level, attitude(p<0.01). Conclusion: There were consistent results with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their attitude was more positive and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and more positive attitude, their practice was activ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students who learned about handwash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learning handwashing. To enhance handwashing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andwashing environment should be maintained. The training plans should also be made according to sex, type of school, economic level, residential area, and the consistent study on handwashing training is requi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숙. 손씻기 교육이 간호사의 내과적 손씻기수행과 방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 고인수. 교사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3. 김금재. 간호학생의 개인위생의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전북의대 부속간호전문대학 논문집. 1981; 8: 47-52
  4. 김명희, 김주성, 정현경, 이상엽, 김정순, 강인순. 일개 대학병원 내, 외과계 일반병동 간호사의 손씻기 실태조사. 가정의학회지. 2003;24: 565-569
  5. 김성희, 신혜련, 김상우, 우극현, 박완섭, 박재용. 보건관리형태에 따른 산업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예방의학회지. 1996;29(3): 579-596
  6. 김소야자. 도시 청소년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사. 간호학 논집. 1986; 9(9): 1-12
  7. 김신희, 조광남, 전현숙, 권영희, 조성진.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조사연구. 임상간호연구지. 1999; vol.4: 181-197
  8. 김양리, 김미영, 유진홍, 신완식, 강문원. 임상분리균주와 손씻기에 대한 Bacteriorkiller(BK) 소독수의 효과. 대한 화학요법학회지. 1995; 13(1): 65-70
  9. 김용순, 박지원, 진혜영, 전희선, 이은경, 곽연식. 수술실 내에서 손씻기 시간과 소독에 따른 살균효과 비교. 대한감염학회지. 1996;28(1): 41-49
  10. 김일옥. 학령전 아동을 위한 호흡기전염병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1. 김재삼, 남철현, 강희양. 초등학교 아동의 개인위생에 대한 조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6; 9(1): 109-123
  12. 김정아. 여대생의 보건지식 태도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분석. 이화체육학회지. 1986; 1(19): 37-44
  13. 노행인.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생의 건강에 대한지식$\cdot$태도 및 실천행위간의 관련성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4. 배연숙, 박경민. 도시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가족환경, 건강행위 및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8; 9(2): 502-517
  15. 선우성. 외국의 학교보건. 대한의사협회지. 2003;46(2): 116-123
  16. 신관호. 개인위생의 지식 및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공중보건잡지. 1971; 8(2): 288-296
  17. 안미정. 중환자실 간호인력의 손씻기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윤아영. 농촌과 도시초등학생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9. 윤준호, 이무식, 나백주, 김건엽, 홍지영, 강문영, 김대경, 전선복. 일부 국군병사와 구강보건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보건연구. 2005; 31(1): 86-9
  20. 이상진, 중.고등학생의 위생교육에 따른 위생지식 및 수행수준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이순자. 건강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2. 이진미. 농촌과 도시지역 초등학생의 건강행위와 건강상태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3. 임승지. 교통안전교육 전$\cdot$후의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4. 임현자. 간호사의 손씻기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996; 2(2): 5-16
  25. 장영남. 초등학생 컴퓨터 게임중독과 건강지학 및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6. 전보성. 입원환자 보호자들의 손씻기에 대한 행태조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7. 전춘영. 임상간호원을 위한 실무교육과정으로서의 가족계획.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28. 정선희. 병원감염예방을 위한 외과적 손씻기와 감염환자 수술관리 실태조사연구. 이화여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9. 정인숙. 올바른 손씻기. 보건간호소식지. 2003;53: 20-31
  30. 정재심, 최정화, 이순행, 김양수. 배양검사를 통해 확인한 중환자실 직원의 손씻기 효과.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2003; 5(2): 21-30
  31. 정재심, 최준길, 정인숙, 백경란, 인혜경, 박기동. 전 국민의 손씻기 이행 및 인식실태, 예방의학회지 2007; 40(3): 197-204 https://doi.org/10.3961/jpmph.2007.40.3.197
  32. 조수현.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성 인지도와 시행도와의 관계연구, 순천전문대학논문집. 1997; 21(1): 65-100
  33. 질병관리본부, 손씻기 실태 및 대국민 인식도 조사. 2005
  34. 최경희. 중.고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5. 최성필, 박정일, 임현우. 일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2): 171-179
  36. 한명주. 손씻기 교육프로그램이 손씻기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7. Aung Myo Han, Thein Hlaing. Prevention of diarrhoea and dysentery by hand washing. Trans R Soc Trop Med Hyg 1989 Jan-Feb; 83(1): 128-31 https://doi.org/10.1016/0035-9203(89)90737-2
  38. Boyce JM, Pittet D. CDC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 of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nd the HICPAC/ SHEA/APIC/ICSA Hand Hygiene Task Force. Morbidity and Morbidity Weekly Report 2002; 51(6): 1-45
  39. Dubbert DM, Dolce J, Richter W, Miller M & Chapman SW. Increasing ICU staff hand washing : effects of education and group feedback.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1990; 11(4): 191-193 https://doi.org/10.1086/646148
  40. Garner JS, & Favero MS. CDC guideline for handwashing and hospital environmental control. Infection Control 1986; 231-243
  41. Kaltenthaler EC, Drasar BS. Understanding of hygiene behaviour and diarrhoea in two villages in Botswana. J Diarrhoeal Dis Res 1996 Jun; 14(2): 75-80
  42. Larson EL. Effects of Automated sink on handwashing practices and attitudes in high-risk unit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1991; 12(7): 422-427 https://doi.org/10.1086/646372
  43. Paul RA, Elliott. Handwashing practice in nurse education. Professional Nurse 1996; 11(6): 357-360
  44. Pittet D, Philippe M & Thomas VP. Compliance with hand washing in a teaching hospital. Annal of Internal Medicine 1999; 130(2): 126-129 https://doi.org/10.7326/0003-4819-130-2-199901190-00006
  45. Simmons B, Bryant J, Neiman K, Spencer L & Arheart K. The role of hand washing in prevention of endemic ICU infection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igy 1990; 11:589-594 https://doi.org/10.1086/646100
  46. Wilson JM, Chandler GN. Sustained improvements in hygiene behaviour amongst village women in Lombok, Indonesia. Trans R Soc Trop Med Hyg 1993 Nov-Dec; 87(6): 615-6 https://doi.org/10.1016/0035-9203(93)90260-W
  47. Yalcin SS, Yalcin S, Altin S. Hand washing and adolescents. A study form seven school in Konya, Turkey. Int J Adolesc Med Health 2004 Oct-Dec; 16(4):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