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frequency and Social Supports among Korean Kin: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 Published : 2007.12.25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Korean kinship relationships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s. Based on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data, it analyzes the degree of kinship contact and the source of instrumental and emotional social suppo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tact frequency among Korean kin is relatively low, and the instrumental social supports are more active than emotional social supports.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lower contact frequency among Korean kin cannot be easily explained either the degree of Economic development nor the familism tra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erarchical collectivism inhered in confucian tradition is responsible for the sparse kinship contact. Regarding social supports, results confirm the strong instrumental familism among Kor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hierarchical collectivism and lower emotional support from kin is also discussed. In addition, this study notes that lower extent of emotional support among kin cannot be identified with lower social solidarity among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가족 및 친족관계의 특성을 국제 비교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의 모듈인 '사회관계와 지원체계'를 조사한 2004년 한국일반종합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친족 간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에서 친족이 차지하는 위치를 비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대면적 친족접촉빈도가 조사대상 국 중 최하위 권에 있으며, 한국의 가족 및 친족이 정서적 지원보다는 도구적 지원의 대상으로 작동하는 성격이 보다 강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낮은 친족접촉빈도는 한국의 경제발전 수준이나, 강한 가족주의의 전통으로는 쉽게 설명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여, 유교적 전통 중 위계적 집합주의가 섬소한 대면적 접촉빈도를 설명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사회적 지원과 관련하여서는 한국의 가족주의가 도구적 가족주의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친족집단의 낮은 정서적 지원정도와 위계적 집합주의와의 관련이 논의되었다. 또, 이러한 낮은 정서적 지원의 양상이 반드시 한국의 가족관계가 비정서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지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춘 (2002) '유교와 한국의 가족주의' <경제와 사회> 2002 (55): 93-118
  2. 김재온 (2004) '한국인의 정체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인의 가치지향> 학술 심포지움 발표문
  3. 박통희 (2004) '가족주의 개념의 분할과 경험적 검토' <가족과 문화> 16(2): 91-125
  4. 보건복지부 (2005) <2004년 전국노인가구 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결과>
  5. 석현호 외 (2004) <한국종합사회조사 2004> 성균관대학교출판부
  6. 신용하. 장경섭 (1996) <21세기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 문화> 서울: 지식산업사
  7. 이광규(1994)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6) 5-11
  8. 조혜정 (1986) '가족윤리-공리적 가족집단주의와 도덕적 개인주의' <현대사회와 가족>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9. 장경섭 (1994) '한국 가족의 이념과 실제' <철학과현실> (3): 51-66
  10. 장경섭 (1999) '여성, 시장, 공공가족으로서의 국가: 재생산 사회화와 성질서' <사회비평> (18): 298-327
  11. 최샛별. 이명진. 김재온 (2003) '한국의 가족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한국사회학> 37(5): 1-30
  12. 최재석 (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일조사
  13. Bott, E. (1971) Family and social network: roles, norms, and external relationships in ordinary urban families New York: Free Press
  14. Cha, J. (1994) 'Aspect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Korea' PP. 157 -17 4 in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eory, method, and applications, edited by U. Kim, H. C. Triandis, C. Kagitcibasi, S. C. Choi, & G. Yoon, CA: Sage
  15. Cicirelli, V. G. (1994). 'Sibling Relationships in Cross-Cultrual Perspectiv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1): 7-22 https://doi.org/10.2307/352697
  16. Coleman, J. (1990) Foudnations of Social Theory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7. Fischer, C. (1983) To Dwell among Friends: Personal Networks in Town and City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 New York, Simon & Harper
  19. Gould, R. (2002) 'The Origins of status Hierachies: A formal Theory and Empirical Tes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7(5): 1143-1178 https://doi.org/10.1086/341744
  20. Granovetter, M.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5): 1360-1380 https://doi.org/10.1086/225469
  21. Hofstede, G. (1991)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New York : McGraw-Hill
  22. Hollinger, F. and Haller, M (1990) 'Kinship and social networks in modem socie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 among seven nation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6(2): 103-119
  23.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ss Addison-Wesley
  24. House, J. S., Umberson, D. & Landis, K. R (1988) 'Structures and processes of social support' Annual Review of Sociology (14): 293-318 https://doi.org/10.1146/annurev.so.14.080188.001453
  25. Jeong, J. (2004) 'Status, Culture and Network Formation' Unpublished Ph. D thesis University of Chicago
  26. Laumann, E. O. (1973) Bonds of pluralism: The Forms and Substance of Urban Socaial Settings Indiana Bobbs- Merrill
  27. Lawler, E. J. and Yoon. J. (1998). 'Network Structures and Emotion in Social Ex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5): 871-94 https://doi.org/10.2307/2657506
  28. Marsden, P. V. (1987) 'Core Discussion Neworks of America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1): 45-64 https://doi.org/10.1086/219920
  29. Salommon, S. (1977) 'Family Bounds and Friendship Bonds: Japan and West Germany' Joumal of Marriage and Family 39(4): 807-820 https://doi.org/10.2307/350484
  30. Weber, M. (1968) The Religion of China New York. Free Press
  31. Wellman and Worthley (1990) 'Different Strokes form Different Folks-Community Ties and Social Suppor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3) :558-588 https://doi.org/10.1086/229572
  32. Wilmott, P. (1993) Friendship Networks and Social Support London: Policy Studies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