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2{\sim}2005$년까지 측정된 한국농촌공사의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별, 공간별 저수지의 부영양화 및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TN에 의거하였을 때, 대다수(전체의 88%)의 저수지는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OECD 기준에 의거하여 산정한 TP에 의한 영양상태에서는 전체 저수지의 26%가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고, 71%는 중영양, 3%는 빈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계절적 변이는 강우 집중기인 7월에서 8월 사이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전기전도도, COD, SS, TN, TP 및 CHL 값은 강우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는 전기전도도와 COD 농도가 높은 저수지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TP의 증가에 따라 CHL의 농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와 SS는 집중 강우해에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TP와 CHL은 가뭄해에 비하여 약 2배정도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는 인근 점 비 점오염원으로부터 장마 기간에 유기물 및 부유물, 영양염의 다량 유입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귀분석에서는 TN: TP 비와 TP가 매우 높은 상관관계 ($R^2$=0.84, p<0.001, n=34)를 보였으며, CHL과 TP는 1차 함수관계 $(Log_{10}TP=0.5{\times}Log_{10}CHL+0.086)$를 보였다. TN, TP, CHL에 의거한 유사도 분석에서는 약 90% 수준에서 염도가 높으면서 해양 인접 지역에 위치한 그룹, 염도가 낮으면서 내륙에 위치한 그룹, 그리고 뚜렷한 위치 특성을 보이지 않는 중간적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For this study, we analyzed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trophic state and water quality over the period of $2002{\sim}2005$, using the water chemistry dataset obtained from the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Most reservoirs, based on TN, showed eutrophic (about 88% of the total). About 20%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TP, showed eutrophic after the criteria of OECD (1982), while 71% and 3% were Hesotrophic and oligotrophic, respectively. Seasonal variations were evident due to the intense monsoon rain during July${\sim}$August; conductivity, COD, SS, nutrients, and chlorophyll-${\alpha}$ (CBL) increased in the postmonsoon compared to the premonsoon. TP values had positive functional relations with conductivity, COD, and CHL values. COD and SS peaked during the intense monsoon. Mean values of TP and CHL values were two times greater in the intense monsoon than the weak monsoon. The increased TP was probably due to inorganic suspended solids from point and non-point sources during the monsoon. Ratios of TN : TP had strong in- verse relations ($R^2$=0.843, p<0.001, n=34) with TP, but not with TN (p>0.05, n=34). Log10-transformed CHL increased with TP in most P-limited reservoirs $(Log_{10}TP=0.5{\times}Log_{10}CHL+0.086)$. Similarity analysis, based TN, TP, and CHL showed that three groups were separated at 90% similarity level; One group was reservoirs with high salinity nearby the seawater,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reservoirs with a low salinity of the inland, and intermediate salinit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