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ngineering step on Plant Project

플랜트 설계단계 핵심성공요인(CSF) 도출에 관한 연구

  • 손재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 한충희 (경희대학교 토목건축대학) ;
  • 김재온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상엽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현재 플랜트 산업이 해외 건설 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해외 건설 수주액의 60% 이상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시공부문의 높은 기술경쟁력에 비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설계부문은 그 기술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산업의 우수설계능력 확보를 위하여 플랜트 설계단계의 성공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플랜트 설계업무를 분석한 뒤, 설문조사를 통하여 플랜트 설계단계 프로세스의 업무별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렇게 파악된 중요도 점수를 공정관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검토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플랜트 설계단계의 핵심성공요인(CSF)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랜트 설계단계 성공의 요인을 파악하고 확인 및 관리를 위한 요소들을 제시하여 설계단계 업무수행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에는 도출된 핵심성공요인을 이용하여 플랜트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모델 개발 등의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예상.김한수.이유섭.강태경.조훈희.백승호 (2001). '건설사업관리 적용 건설사업에서의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17권 제12호, 대한건축학회, pp.207-215
  2. 박찬식.김정원 (2003).' 소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4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67-75
  3. 산업연구원 (2004). 2010년 플랜트 수주 300억불 달성을 위한 플랜트 수출산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보고서, 산업자원부. pp.110-115
  4. 유흥석 (2001). 플랜트 산업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초판, (사)한국플랜트학회, pp. 27
  5. 전성진.김예상 (2003). '턴키 프로젝트의 주요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19권 제6호, 대한건축학회, pp.141-149
  6. Morris, P. (1986). 'Research at Oxford into the Preconditions of Success and Failure of Major Projects', 1986 Proceedings,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Montreal, Canada: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pp.53-66
  7. Stuckenbruck, L.C. (1986). 'Who Determines Project Success?', 1986 Proceedings,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Montreal, Canada: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pp.8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