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재원분담방안 연구

Financial Resources allocation criteria for Integrated River Basin Management

  • 김종원 (국토연구원 국토환경.문화연구실) ;
  • 김창현 (국토연구원 국토.지역연구실)
  • Kim, Chong-W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Research Fellow (KRIHS)) ;
  • Kim, Chang-Hyu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Research Fellow (KRIHS))
  • 발행 : 2007.01.31

초록

본 연구의 핵심은 유역별 통합관리에 필요한 재원을 중앙과 지방정부 그리고 유역내의 지자체간에 어떠한 기준으로 분담하느냐를 다루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원의 배분을 유역 내의 이수, 치수, 수질개선에 따른 분담원칙과 이를 현실적으로 적용할 공통기준과 개별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재원분담 방안을 유역별로 적용한 결과, 합리적인 재원의 조달 방법이 유역별로 매우 상이함을 발견하였다. 한강과 영산강 섬진강 유역은 개별기준과 수익자 부담원칙에 충실한 부담금적 성격이 타당한 반면, 낙동강과 금강유역은 공통기준과 부담능력에 충실한 조세적성격의 재원배분이 합리적임을 발견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financial resources allocation criteria are examined closely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among local government in a river basin. Financial resources allocation principles reflecting water use, flood control,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are reviewed and derived two categories such as common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The weights of each factor are assigned by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The results of applying four river basins (Han river, Geum river, Nakdong river, Yeongsan-seumjin river) show that rational raising of financial resourc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iver basin. Findings are as follows: In case of Han river and Yeongsan Seumjin river, benefit principle and polluter pay principle by individual factors are more attractive than other Principles. Solvency principle by common factor is more acceptable than the other principles in Nakdong-river and Geum-riv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원, 김창현, 심우배 (2005).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재원확보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pp. 1-3
  2.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1999). 한강수계 수질보전 및 관리를 위한 비용분담방안 연구. pp. 121 -154
  3. 경기개발연구원 (2002). 팔당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한 한강수계관리기금의 효율적인 집행 방안. pp. 2-5
  4. 송미영, 박찬혁 (2000). 한강수계 물 이용부담금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경기개발연구원, pp. 1-5
  5. 심성보, 김병찬, 이상일 (2004). 'AHP를 이용한 강변여과수 개발지역 선정.' 한국수자원학회 2004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107-1111
  6. 이상일, 김병찬, 김수민 (2004). '지표수-지하수를 연계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 (I) 방법론.'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0호. pp. 789-798
  7. 이준구 (1999). 재정학. 제2판, 다산출판사
  8. 이창희, 이병국, 최지용, 김은정 (1999). 물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유역관리 방안 -낙동강 수계관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 132-136
  9. 이충성, 최승안, 심명필, 정관수 (2004). '가중치 산정을 통한 다목적댐 용수의 배분 방안.'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8호, pp. 663-674
  10. 이충성, 최승안, 이상철, 심명필, 김형수 (2005). '유역단 위의 치수사업을 위한 의사결정모형.'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512-516
  11.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2005).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p. 6
  12. 최승업 (2002). 한강수계 물 이용부담금의 효율적 배분과 사용. 강원발전연구원, pp. 20-30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3). 물 관리체계개선 방안 연구. pp. 1-15
  14. 한국수자원학회 (1998). 우리나라의 발전적인 물 관리 체계구축 방안. pp. 1-5
  15. 홍성준, 김승권, 김중훈 (2005). 'PROMETHEE를 이용한 상수도관망시스템의 위험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307-1311
  16. Heathcote, Isobel W. (1998).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 Principles and Practice. pp. 1-12. John Wiley & Sons, Inc
  17. Hooper, Bruce (2005). Integrated River Basin Governance : Learning from International Experience. pp. 1-23. IWA, London, Seattle
  18. Saaty, T. (1994).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faces. Vol. 24, No.6, pp. 19-43 https://doi.org/10.1287/inte.24.6.19
  19. Saaty, T. (1983).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30, No.3, pp. 14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