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n the Sexual Organs Appeared in 'Manhoengcheongnyu,' "Cheongguyeongeon"

"청구영언" '연장' 등장 만횡청류 재론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his thesis is to review 'Manhoengcheongnyu,' $\ulcorner$Cheongguyeongeon$\lrcorner$ in which sexual organs have appeared. The result of the review shows that a male narrator wants a large organ and a female narrator, a small one. Although there seems to be a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with the framework of the size of the organs, they have the similar standpoint, Yeohapbujeol(如合符節), that they give and take the sexual feelings to satisfy their mates each other. As a consequence. $\ulcorner$eokgogeomgokuikeungurenarotgeugeotjochagilgoneopda$\sim$(#1993, *569)$\lrcorner$, refers to the other's satisfaction about the sizes of their own organs rather than the idea that the female sexual life is unilaterally oppressed by the male one. Sijo(時調) touches on organs which are 'bawdy and trifling,' and includes obscene comments. Eumdampaeseol(淫談悖說). Mentioning Eumdampaeseol(淫談悖說), the participants in a banquet of the singing space can be a part of its atmosphere, and by being protected by it, they can recite the sexual organs openly or they can grasp the inner meaning of the verse-joke in a refined and humorous fashion-which expresses organs indirectly. Thus, $\ulcorner$aheunahopgommeogeun老丈濁酒geolleo醉kemeokgo$\sim$(#1854, *534)$\lrcorner$, is not related with 'remorse about old age', but is merely a kind of Sijo(時調) about a sexual organ.

이 글은 $\ulcorner$청구영언$\lrcorner$에서 남녀의 생식기를 지칭하는 '연장'이 등장하는 만횡청류를 재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재론한 결과로, 남성화자는 큰 연장(대물), 여성화자는 작은 연장을 바라고 있었다. 연장의 크기로 보면 남녀의 경향이 상반된 듯하지만 서로에게 성적 만족을 주고 받아야 한다는 생각 즉 '여합부절(如合符節)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그래서 $\ulrcorner$얽고검고??큰구레나롯그것조차길고넙다$\sim$(#1993, *569)$\lrcorner$를 '남성에 의해 일방적으로 훼손당하는 여성의 성'으로 이해하기보다 남편과 자신의 '연장'크기에 대한 만족과 그에 따른 '여합부절(如合符節)'을 자랑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음탕하고 뜻과 지취가 보잘 것 없'는 연장 등장 시조는 음담패설에 해당했다. 음담패설이 진술될 때. 그곳에 참석한 자들이 가창공간의 분위기에 동참하고 그것을 보호하는 경향을 띤다는 점에 기대어 '연장'이 노골적으로 등장하거나 혹은 '연장'이 우회적으로 숨어 있는 노래(세련된 농담)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래서 $\ulcorner$아흔아홉곱머근노장탁주(老丈濁酒)걸러취(醉)케먹고$\sim$(#1854, *534)$\lrcorner$도 '늙음에 대한 회한'과 관련된 게 아니라 연장 등장 시조의 또다른 모습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