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usical Theory of Ancient Score and Anthology in 19th Century - Focused on -

19세기 고악보(古樂譜) 가집(歌集)의 음악론(音樂論) 고찰(考祭) - <서(序)>를 중심(中心)으로 -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Out of total 39 documents to research musial theory appearing in the introduction of ancient score and anthology in 19th century, ancient scores including introduction were $\ulcorner$GeumboJeongseon(琴譜精選)$\lrcorner$ $\ulcorner$ChilhyeonGeumbo(七絃琴譜)$\lrcorner$ $\ulcorner$HyeongeumOeumTonglon(玄琴五音統論)$\lrcorner$ $\ulcorner$HyeongaGuebeom(絃歌軌範)$\lrcorner$ and $\ulcorner$JukchwiGeumbo(竹醉琴譜)$\lrcorner$ and anthologies were $\ulcorner$GyobangGayo(敎坊歌謠)$\lrcorner$ $\ulcorner$SeungpyeongGok(昇平曲)$\lrcorner$ $\ulcorner$GagokWollyu(歌曲源流)$\lrcorner$ and $\ulcorner$GeumokChongbu(金玉叢部)$\lrcor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 First, the introduction of ancient score reads that musicians should have inherent character and right mind and harmonious sound exerts influence on human being. It emphasized that the proper expression of music is the stabilized mind and right idea. Second, the introduction of anthology lays stress on proper meaning, that is, lyrics that is not indecent nor loose. It asserted that right lyrics should not be pressing nor frivolous, but rather slow. Lastly, the introduction of both ancient score and anthology commonly present 'recovery of ancient music'. It was confirm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intellectuals and musicians in 19th century was to aim at slow, but harmonious and right music.

19세기의 고악보와 가집의 서문에 나타난 음악론을 연구하기 위하여 총 39종의 문헌자료 가운데 서문이 수록된 고악보 자료는 $\ulcorner$금보정선(琴譜精選)$\lrcorner$ $\ulcorner$칠현금보(七絃琴譜)$\lrcorner$ $\ulcorner$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lrcorner$ $\ulcorner$현가궤범(絃歌軌範)$\lrcorner$ $\ulcorner$죽취금보(竹醉琴譜)$\lrcorner$ 등 5종이며 가집 중에서는 $\ulcorner$교방가요(敎坊歌謠)$\lrcorner$ $\ulcorner$승편곡(昇平曲)$\lrcorner$ $\ulcorner$가곡원류(歌曲源流)$\lrcorner$ $\ulcorner$금옥총부(金玉叢部)$\lrcorner$ 등 4종의 자료를 활용하여 19세기의 고악보와 가집에 나타난 음악론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되는 결론은 세 가지로 요약하여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고악보의 서문에서는 음악가의 마음상태는 본래의 성품과 바른마음을 가져야 하며, 조화로운 소리는 사람을 감화시킬 수 있다. 음악가의 안정된 심리상태와 바른마음의 발현이 곧 바른음악의 표현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가집의 서문에서는 바른 뜻 즉, 노래말이 외설적이거나 잡스럽지 않은 노래말을 중시하였다. 바른 노래말은 급박하거나 경박스럽지 않은 완만한 빠르기의 속도로 소리를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셋째, 고악보와 가집의 서문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고악회복'이다. 느리지만 조화롭고 바른음악을 지향하는 것이 19세기 문인지식인들과 음악가들이 지향하는 궁극의 목표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